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간호267

정신간호학 1-34 4-1)미성숙 방어-2 (1)행동화 -무의식적인 소망이나 충동이 즉시 만족되지 않고 연기됨으로써 생기는갈등을 피하기 위해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 -파괴적인 대처 방법 Ex, 경계성 인격 장애 환자의 반복적인 자해 (2)동일시 다른 사람의 바람직한 속성이나 태도, 행동을 들여와서 자신의 성격의 일부로 삼음 ->단순한 흉내, 역할모델, 모방=>의식적 행위 초기 아동기(3~6세)에 시작되고 부모상을 받아들임 ->자아와 초자아의 성장과 성격=>인격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함 Ex, 의사의 아들이 청진기와 주사기를 갖고 놀기를 좋아하는 것(유년기, 아동기) 성인기에도 동일시가 발현되기는 하나 이 경향이 지배적인 것은 자아 발달 이상을 의미하며 병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 (3)공격자와의 동일시 -두려운 대상의 특징을 .. 2023. 8. 2.
정신간호학 1-33 3)자기애적 방어 -가장 미성숙한 방어 -정신병적 방어로 현실을 부인하거나 현저하게 왜곡하는 형태 (1)부정 -현실에서 야기되는 고통 또는 불안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부정하는 과정 Ex, 자신의 병이 치명적일까봐 병원에 가기 꺼려함 (2)분리 -자기와 남들의 심상이 전적으로 좋은 것과 나쁜 것이라는 두 개의 상반된 것으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 -어떤 대상에 대해서 ‘좋다 혹은 나쁘다’로 극단적으로 평가하는 것 Ex, 흰색은 좋고 검은색은 나쁘다 (3)투사 자신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충동이나 욕구를 외부로 돌려 불안을 완화하려는 심리 기재 자아 능력이 아주 약해졌을 때 발생 투사 기재는 환각, 망상의 증상으로 작용 편집증 환자에게 많음 Ex, 자신의 잘못으로 시험을 못 본 아이가 엄마 때문이라고.. 2023. 8. 1.
정신간호학 1-32 4. 방어기전 1)방어기전의 개념 -이드는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욕구, 충동과 이에 대한 초자아의 압력 때문에 발생하는 불안으로부터 자아를 무의식으로 보호하기 위한 기전 -자아가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자동으로 동원하는 갖가지 심리적 전략 2)방어기제의 특징 -억제를 제외한 모든 방어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사용 -불안에 대처하는데 몇 가지 방어기제를 동시에 사용 -갈등과 감정을 관리하는 주요 수단 -방어기제는 서로 별개임 -종종 주요 정신의학 증후군의 특징이지만 이것은 가역성 -방어기제는 병적이기도 하지만 적응력도 있음 주로 나타나는 상황 종류 자기애성 방어 ** -주로 소아 -가장 원시적임 -정신병적 장애 -부정/왜곡 -투사 등 미성숙 방어 * -청소년기 -일부 인격장애 -행동화 -해리 -평가 절하 -.. 2023. 7. 31.
정신간호학 1-31 3. 성격 1)성격의 개념 (1)성격 -한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내는 독특하고 일관성이 있고 안정된 인지, 정동, 행동양식 2)성격 영향요인 (1)생물학적 요인 -타고난 체형 -유전적 소인 등 (2)정신심리/사회문화적/대인관계 요인 -양육경험 -부모와의 관계 -사회 문화적 배경 -개인/대인관계의 경험 등 3)성격의 구조 (1)이드 성격의 근원적인 부분으로 전체 체계의 에너지 원천 자아와 초자아로 이드에서 이작 유전적인 것, 기본적인 욕구, 본능, 충동 등을 포함 비언어적이고 비과학적인 1차적 사고 과정에 움직임 태어날 때부터 존재, 5~6세에 약해지다가 청소년기에 일시적으로 커짐 기능 -성격을 형성하는 에너지와 창조의 잠재능력을 제공(무의식계) (2)자아 현실감을 갖고 욕구를 연기하는 현실적인.. 2023. 7.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