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우울17

지역사회간호학 1-63 2. 노인의 변화1)신체적 변화(1)근골격계-골다공증과 골절-관절의 기동성 감소 (2)순환기계-체온 하강->신진대사 저하로 인함-혈압 상승-심박출량 감소-사지냉감과 저림->관상동맥에 혈액 공급 감소-빈혈-체위성 저혈압 (3)호흡기계-폐활량 감소-구강 호흡-객담반사 저하-폐렴, 폐결핵, 만성 기관지염 등의 질환 발생 (4)소화기계-미각의 저하-치아 문제-소화력 저하-가스의 과다-설사-변비 (5)생식·비뇨기계-실금-야뇨-전립선 비대-생식기 경화-질 염증 증가 (6)감각기계-시력의 저하-명암에 대한 반응력 저하-색의 식별능력 저하-청각의 저하-통증 역치 증가-피부의 피하지방이 감소하나 요부와 복부에는 침착 (7)신경계-돌발적 위험에 대처하는 능력 저하->반사기능·감각·운동능력 저하-불면증 *노인성 질환의 특성.. 2025. 5. 11.
아동간호학 1-197 6. 우울증1)특성(1)아동기 우울증은 발견이 어려움-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없어 문제나 걱정거리로 행동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2)어린 아동일수록 스트레스와 우울 증상 사이의 인과관계가 크게 나타남(3)울음, 불안, 여가 시간을 주로 혼자 보냄(4)이차적으로 수면 문제, 분리 불안, 정신 발달 지연이 나타날 수 있음 2)치료 및 중재(1)상담(2)정신 요법(3)놀이 요법(4)가족 치료(5)필요 시 약물요법 병행(6)자살 예방 7. 배설장애1)유뇨증(1)수의적 방광조절이 획득되어야 할 나이임에도 의도적으로 불수의적 소변이 배출되는 것-주로 밤에 배출되는 것을 야뇨증이라고 함(2)아동의 발달연령이 주로 5세 정도는 되어야 하며 부적절한 소변의 배출이 최소 3개월간, 적어도 1주일에 2번 이상 지속될 때 .. 2025. 1. 20.
정신간호학 1-172 2)항불안제 적응증 (1)범불안장애 (2)공황장애 (3)불면증 ->스트레스와 관련된증상 (4)다른 정신의학적 진단과 관련된 불안증 (5)발작 (6)수술 전 겪는 불안이나 두려움 (7)불면 3)부작용 -불면증 -허약감 -오심 -구토 -근육진전 -불안 -두통 -과민성 -발한 -조정 불가능 -식욕부진 -발열 -안절부절 못함 *약물관리 지침 1. 대상자에게 치료자의 사전 승인 없이 용량이나 복용횟수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주의 2. 이러한 약물들은 자동차, 기계와 같은 장치를 다루는 능력을 감소시킨다고 주의 3. 우울이 동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알코올성 음료나 다른 항불안제를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 4. Benzodiazepines 와 같은 항경련제의 복용은 선천성 기형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임부에게 주의를 주고 모.. 2023. 12. 19.
정신간호학 1-100 5. 인격장애 치료 및 간호중재-2 4)정신생물학적 중재 (1)우울 -MAOIs -Lithium (2)정신증상 -Thiothixene(Navane) ->착각, 관계사고, 강박 증상, 공포장애 감소 (3)충동적 행동, 자기파괴적 행동 -Carbamazepine -MAOIs (4)망상적 사고, 불안, 적개심 -Haloperidol -Thiothixene(Navane) (5)반사회적 폭력적 성향 -Lithium -Propranolol(Inderal) (6)불안, 충동적 행위, 경계성 성향 -Fluoxetine(Prozac) 5)신체적 활동 (1)운동 -감정과 긴장 완화 (2)잘짜여진 집단 활동에 포함시켜 어떤 임무를 맡도록 하여 주어진 책임을 완수 (3)매일의 활동에 대해 세밀히 잘 짜인 계획 속에서 사회적 .. 2023. 10.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