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골절19

지역사회간호학 1-117 3. 학교 건강문제 관리1)신체 검진(1)문진과 함께 정확한 판단을 위해 증상에 따라 시진, 촉진, 청진, 타진 등의 신체 검진 실시(2)전신적인 상태를 사정하고 활력징후 먼저 측정(3)복부 촉진 시는 통증이 없는 곳에서부터 촉진(4)증상에 대한 성상을 확인하며 실시 2)질환이 있는 학생 파악(1)신체사정을 통해 건강 문제 파악(2)문제에 대한 중재 계획에 따라 보건소에서 즉시 실시 도는 의뢰기관 의뢰 3)일반적인 건강문제-2건강문제간호중재발열-안정을 취하며 정확한 체온을 측정한다=>38도 이상 시 열이 있는 것으로 간주함-이마, 겨드랑이 아래, 사타구니를 냉요법 해준다.-춥거나 떨려하면 담뇨를 덮어주고, 끓여서 식힌 물, 보리차 등을 먹여 수분을 보충한다.-열이 지속되면 해열제를 경구 투여한다.식중독-.. 2025. 7. 4.
아동간호학 요약 1-23 3. 운동·감각 기능 장애1)골절(1)아동의 골절 특성-움직임이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흔히 발생-성장판, 골단 부위 손상 호발-성장판이 인대보다 약하므로 골절 시 인대 파열 전에 골단 분리가 먼저 발생-구부러지거나 뒤틀리는 골절(생목골절)이 주로 발생 (2)공통사정-손상부위 부종, 타박상 확인1>5P-Pain-Pulse-Paresthesia-Paralysis -Pallor->통증, 맥박, 지각이상, 마비, 창백 (3)치료-석고붕대와 견인1>석고붕대-피부 통합성 사정-근육, 관절의 수동적 운동-석고붕대 제거 시 아동은 신체 일부가 잘려나가는 두려움을 느끼므로 사전에 잘 설명해주어야 함2>견인 종류Bryant 견인Russell 견인적용2세 이하 혹은 12~14kg 이하 아동의 대퇴골절-무릎 손상과 대퇴 골절-.. 2025. 2. 26.
아동간호학 1-126 (2)견인1>체중이나 도르래, 혹은 봉을 이용하여 환부에 힘을 적용하는 것으로 연조직을 서서히 당겨서 골절된 사지부위의 휴식 및 기형교정과 탈구 치료2>견인의 3가지 필수요소-견인-역견인-마찰(견인 기구사이)3>Bryant 견인-한쪽 방향으로만 당기는 피부견인-2세이하 혹은 12~14kg 이하 아동의 대퇴골절 시 사용->체중의 역전이 역할을 하게 됨-둔부는 90°로 구부리고 다리는 신전시키며 둔부가 침상에서 약간 떨어지도록 함-한쪽 다리만 골절되었다 하더라도 항상 양측에 같은 무게 적용-주로 선천성 고관절 탈구 아동의 정복을 위해, 고관절을 안정시키기 위해 적용-주기적인 방사선 촬영으로 아동의 자세와 골격의 배열 점검4>Buck 신전 견인-다리 하부에 적용하는 대표적인 피부견인으로 다리를 뻗친 상태에서 .. 2024. 11. 10.
아동간호학 1-125 *골절의 유형종류특징요곡골절-아동의 뼈는 유연하여 부러지기 전 45° 이상의 각도가 될 수 있음-휘어지면 완전히는 아니더라도 천천히 반듯해지며 약간의 기형이 유발됨-척골과 비골에 빈번히 나타남팽륜골절부위가 볼록하게 융기하거나 튀어나옴으로써 초래생목골절-뼈가 휨의 한계를 넘어 각이 질 때 발생-압박 받은 쪽은 구부러지고 신장된 쪽은 끊어져 생목이 부러질 때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불완전 골절을 초래완전 골절골편이 완전히 분리됨 2)골절 치료-석고붕대와 견인(1)석고붕대1>골격 고정 위해 사용2>안쪽이 마를 때까지 표면에 다른 것을 덮지 않고, 건조 시 드라이기, 히터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바깥이 먼저 마르면서 화상 가능성 있음3>간호중재환부의 상승-부종 경감순환계, 신경계, 피부 통합성 사정(CMS).. 2024. 11.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