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골절18

성인간호학 2-131 (3)무혈성 괴사 정의 -골절이나 탈구 시 혈관 손상되어 골부분의 혈액 공급 장애 -뼈 조직 괴사 호발부위 -대퇴경부 증상 -기능적 제한 -통증 치료 및 간호중재 -체중 부하 금지 -목발, 보조기 착용 -골 이식술 -관절고정술 -대퇴 골두 치환술 -인공관절 치환술 9)신체 부위별 골절 (1)손목골 -요골 원위부 골절 -여성, 노인에게 호발 -척골의 주상 돌기에서 주로 발생 -합병증 : 손목터널증후군 (2)고관절 골절 -여성, 노인에게 호발 -골절로 인한 합병증 -부동으로 사망 초래 2023. 1. 25.
성인간호학 2-129 7)골절 간호중재 (1)부동 조직손상 최소화 (2)말초 조직관류 유지 손상부위 신체사정 상처 드레싱 출혈 중재 개방성 골절 그대로 부목 적용 (3)통증관리 -고정 -부목적용 -진통제 투여 -비약물적인 통증 간호 : 이완, 전환요법 (4)피부통합성 유지 고정 장치를 한 환자 간호 -조기 이상 격려 -초기에 사지 상증 : 통증, 부종 감소 (5)기동성 회복 -정복수술 시행 전까지 견인 -부동 -피부간호 -마사지 -체위변경 -양호한 위생상태 유지 -비사용증후군 예방 간호 (6)골절 시 응급처치 전신상태, ABC(Airway, Breathing, Circulation) 확인 환부 움직이지 말고 가능한 신속히 고정 개방성 골절 무균방포나 깨끗한 헝겊으로 덥고 부목 대줌 늑골골절 늑골이 폐 천공시킬 가능성 있으므로.. 2023. 1. 23.
성인간호학 2-128 7)골절 간호중재 (1)부동 조직손상 최소화 -옮길 경우 척추손상 고려 -옮기기 전 골절부위에 부목 적용(골절 상하 관절까지 고정 되도록 함) (2)말초 조직관류 유지 손상부위 신체사정 -CMS 사정 -부종 발생 전에 조이는 물건 제거 상처 드레싱 -노출된 뼈를 밀어 넣지 않기 -감염 예방 : 드레싱 교환 시 무균술 출혈 중재 -상처 위에 국소적 압박 -지혈대 사용은 삼가 -지혈대 사용할 경우 : 혈액순환 방해하지 않도록 5분 간격으로 풀어줌 개방성 골절 그대로 부목 적용 수술 후 -이동할 때 삼각손잡이 이용 -손상된 사지 상승 (3)통증관리 -고정 -부목적용 -진통제 투여 -비약물적인 통증 간호 : 이완, 전환요법 (4)피부통합성 유지 고정 장치를 한 환자 간호 -조기 이상 격려 -초기에 사지 상승 :.. 2023. 1. 22.
성인간호학 2-127 ** 골절 분류 완전골절 :골피질연속성 완전 소실, 성인 주로 호발 단순(폐쇄)골절 -연부조직 및 피부 정상 -골편수 3편 미만 매몰(감입)골절 -골절된 뼈의 한끝이 다른 뼈 속에 그대로 남아 있는 골절 -대퇴경부 골절 흔함 -똑바로 추락할 때 주로 발생 분쇄골절 -골편수 3편 이상(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상태) -둔탁한 외력이 광범위하게 가해졌을 때 발생 개방골절 -골절된 뼈의 말단부가 연부조직을 뚫고 피부 밖으로 돌출 -감염 등 합병증 위험 높음 복합골절 골절 주위에 있는 중요 조직이나 기관에 손상을 일으키는 골절 압박골절 -뼈의 길이 방향으로 무리한 하중 가해졌을 때 발생 -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이나 뼈조직에 박히는 골절 -노인의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전위골절 -완전골절되어 골절편이 골절선에서 .. 2023. 1.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