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간호267 정신간호학 1-68 (2)간호중재-정신요법 1>개인 정신요법 -긍정적인 피드백 -인지치료 2>치료집단 ·치료적 요인 -희망의 주입 -감정 정화의 기회 -소속감 -대인간 상호작용과 학습 -자기이해 -집단구성원으로서의 동일시 -자신의 문제만이 아니라는 생각, 보편성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지도 -과거 가족의 문제를 재구조화할 수 있는 기회 ·유형 -약물유지 -사회기술훈련 -교육 -대인관계 -자조집단 3>가족중재 -가능하면 조현병 대상자와 함께 하도록 함 -가족모임을 운영하여 서로 지지를 제공하고 정보를 얻도록 함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교육 제공 -대상자와의 질환과 재발에 대해 비난하지 않도록 함 -대상자에 대한 개입은 조심스럽게 함 -대상자의 생활에 대한 광범위한 감시는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재발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 2023. 9. 5. 정신간호학 1-67 4>망상관리 -망상 : 대상자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반영, 불안감소 ->논리적 설득과 비평이 효과 없음, 신뢰관계 형성이 중요 -대상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 (망상이 의미하는 것, 망상의 목적, 망상에 의지한 행동) -망상의 정당성에 대하여 직접 도전하지 않음 -상황에 대한 다른 해석을 고려해보도록 대상자에게 요청함으로 강하게 지속되고 있는 믿음이 수정될 수 있도록 먼저 시도 -지나친 친절이나 신체적 접촉은 유의 (자기중심적 사고로 오해를 생길 수 있음) -단순하고 명료한 언어 사용 -최근의 생활이나 느낌을 표현하도록 유도 -대상자와 함께 그들의 믿음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고, 어떻게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는지 지적함 -자신의 믿음에 반대되는 주장을 해보도록 대상자를 격려 -다른 환자와 이야기할 때 작.. 2023. 9. 4. 정신간호학 1-62 1)조현병 양성 증상 (1)정신병적 증상 1>환각 ·빈도 -청각>시각>촉각, 후각, 미각 ·환청의 내용 -사람 목소리가 흔함, 욕설이나 지시, 대화 등 2>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 -신체망상 -관계망상 -조종망상 등 2)와해된 증상 와해된 언어 ·연상이완 -생각이 연관성 없는 다른 주제로 진행하는 것 ·지리멸렬 -연상 이완이 심해져 전혀 이해되지 않는 말을 하는 것 ·말비빔 -연관 없는 여러 개의 단어나 구절을 아무렇게나 섞어서 말함 ·우회증 -말하고자 하는 바를 직접적으로 말하지 못하고 불필요하게 상세한 설명이나 언급을 지나치게 돌아서 말하는 것 ·사고의 이탈 -우회증보다 심한 형태로 애초에 말하고자 하는 바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생각이 흘러 들어가는버리는 것 ·음향 연상 -뜻은 전혀 다르지만 소리.. 2023. 8. 30. 정신간호학 1-61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된 질환 간호 1. 개념 -뇌의 기질적 이상은 없는 상태에서 사고, 정동, 지각, 행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와해를 초래하는 뇌 기능 장애 2. 원인 1)생물학적 요인 (1)유전적 요인 -발생빈도 일란성 쌍생아(40~55%)>이란성 쌍생아(9~15%) (2)신경화학적 요인 1>도파민 과잉이론 2>비정상적인 세로토닌계 활성 3>노르에피네프린 활성 이론 4>GABA 기능 감퇴 가설 (3)뇌의 구조적 원인 -측뇌실과 3뇌실의 확대 -대뇌피질의 위축 -전두엽·측두엽의 위축 2)심리·사회적 요인 (1)취약성 모델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취약성 Ex, 빈곤, 주요 생활 스트레스, 대인관계 (2)대인관계 요인 -모자관계의 이상 -이중 구속 의사소통 ->부모가 상반된 내용으로 훈계하.. 2023. 8. 2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6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