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간호266 정신간호학 1-59 6. 기억장애 1)기억상실증 (1)전향성 기억상실 -특정 시점 이후 일을 기억하지 못함 (2)후향성 기억상실 -특정 시점 이전 일을 기억하지 못함 (3)심인성 기억상실 -심리적 이유로 기억의 상기기능이 억제됨 2)기억과다증 -기억의 회상 능력이 항진되는 현상 -특정 기간에 일어난 일의 자세한 부분까지 기억 3)기억착오증 과거에 없었던 일을 마치 있었던 것처럼 사실과 다르게 왜곡되어 있는 상태 (1)작화증 -기억이 잘 나지 않는 부분을 상상이나 사실이 아닌 경험으로 배우는 현상 Ex, 코르사코프 증후군, 치매 (2)화상성 조작 -개인의 현재감정이나 인지능력, 경험 등을 통해 의도하지 않게 기억이 왜곡되는 현상 (3)미시현상 / 기시현상 1>미시현상 -익숙한 상황인데 처음 보는 것처럼 느끼는 착각 2>기시현.. 2023. 8. 27. 정신간호학 1-58 4. 행동장애 행동 -정신활동의 결과물, 관찰할 수 있는 신체운동의 형태로 나타나는 외적 표현 행동변화 정의 긴장증 -자발적인 운동이 없거나 극도의 초조성 흥분을 나타냄 강직증 -반복적 행동의 가장 심한 경우 -보통사람이라면 견디기 힘들 정도로 일정한 자세를 움직이지 않고 유지 납굴증 -심한 강직증, 취해진 어떤 자세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 상동증 -운동의 반복적인 유형을 말하며, 타인의 행동을 모방한 것일 수도 있음 -무의식적 긴장이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기행증 -이상한 버릇, 표정(Ex, 얼굴을 찌푸리거나 독특한 제스처, 걸음걸이 등) 반복 -상동증보다 덜 지속적이고 단조로움 보속증 -새로운 동작을 하려고 노력하지만 계속 이전과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상동증과 비슷하지만 근본적으로 뇌의 손.. 2023. 8. 26. 정신간호학 1-57 3. 지각장애 *지각 -말초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것을 인식하는 과정 1)실인증 자극의 중요성이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상실하여 사물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 (1)치매, 뇌종양 등의 질환에서 볼 수 있음 (2)시각 (3)촉각 (4)청각 실인증 등 2)착각 실제 외부 자극을 뇌에서 통합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여 왜곡되게 인식하는 현상 (1)거식증/미시증 -사물이 실제보다 크게/작게 보이는 상태 (2)공감각 -실제의 자극이 다른 형태의 감각으로 나타나는 현상 (3)이인증 -자기가 자신이 아닌 것처럼 느껴짐 - “나는 내가 너무 생소해서 다른 사람 같다” (4)비현실감 -익숙한 환경이 생소하게 느껴지거나 낯선 환경이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 3)환각 외부 자극이 없는데도 실제처럼 지.. 2023. 8. 25. 정신간호학 1-55 3)사고과정(진행)의 장애-2 양상 정의 사고의 박탈 -사고의 단절이 매우 심해 말을 하던 도중 말이 중단됨 -누군가가 자신의 뇌에서 사고를 지우거나 빼냈다고 생각함 우회증 (우원증) -의도했던 사고 목표에 도달하기는 하나, 사고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류와 비주류를 구분하지 못해 여러 가지 불필요한 지엽적 내용으로 탈선하여 빙빙 돌다가 결론에 이름 사고의 이탈 -빗나간 사고가 다시 중심 요점으로 돌아오지 못해 결과적으로 처음 의도한 생각이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함 보속증 -화제를 바꾸려는 노력과 새로운 자극에도 불구하고 떠올랐던 생각이 계속해서 떠올라 사고의 진행이 제자리에서 맴돌고 더 이상 진전되지 않는 현상 -치매, 섬망, 물질관련 장애 등과 같은 기질적 뇌 손상 사고의 부절절성 -질문내용과 상관없는 .. 2023. 8. 23.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6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