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간호267

정신간호학 1-28 3)뇌간 기능 정신질환과 관련된 비기능적 증상 중뇌 -청각, 시각 반응들을 중계하는 역할 -운동반응의 무의식적인 조절 중추 -틱장애 -추체외로 증상 ->상동증적 움직임 교 -소뇌와 대뇌를 연결하고 중뇌를 연수까지 연결 -호흡조정계 호흡수 조정 연수 -심박동 -호흡 -연하 -구토 -기침 -재채기 ->중요한 반사 중추 4)간뇌 기능 정신질환과 관련된 비기능적 증상 시상 -모든 감각 경로 -감각경로를 받아 대뇌피질의 각 영역으로 연계 -의식주도 -동기결여의 원인 -충동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 시상하부 -호르몬 -식사, 음주 -각성, 수면 -체온, 심박동 -화학적 균형 -성, 성적행위 조절 -감정 -뇌하수체 조절 -생체리듬 -면역체계 조절 중추 -수면-각성 주기의 이상 -과식과 과음 -성적 기능부전 -기분장애 2023. 7. 27.
정신간호학 1-27 2.2 정신 생물학적 이해 1. 신경계 1)대뇌 기능 정신질환과 관련된 비기능적 증상 전두엽 -고차원적인 생각 -추상적 추론 -기억계획 -동기 -집중 -의사결정 -언어산출 -목적 있는 행동 -부적절하고 억제되지 않는 행동 -부적절한 감정 -동기가 살아짐 -치매 두정엽 -자세, 근육, 촉각, 후각, 청각, 시각과 관련된 감각기능 -공간지각 능력의 감소 -부정 -신체상의 손상 -자가 간호능력의 손상 -좌우 방향감 상실 후두엽 -시각 기능 -시각적 착각 -환각 -히스테리성 실명 측두엽 -후각정보 획득 -추상적 사고 -판단 -기억 -변연계의 주된 구성요인 -소리를 이해 -일부 환자에 있어서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반응 -환후와 환청 그리고 언어 이상 변연계 -주관적인 감정 경험 및 감정 상태에 관련된 신체기능변화에.. 2023. 7. 26.
정신간호학 1-25 5)인지발달 이론 -피아제에 의해 제시 -인지발달을 아동 자신의 능동적인 행동을 통하여 분화되고 수립해 나가는 능동적 구성과정으로 봄 -발달단계 (1)감각운동기 -0~2세 보고, 듣고 만지는 등의 감각을 통해 대상물과 관련된 개념을 지니는 시기 대상영속성 획득 -시야에서 사라진 사람이나 사물도 찾아낼 수 있음 (2)전조작기 -2~7세 사고가 비체계적, 비논리적이나 단어 및 이미지를 포함한 상징의 기능이 비약적으로 발전 물활론적 경향 -무생물에 생명과 감정 부여 도덕적 타율성 -정해진 규칙에 맹목적으로 복종 (3)구체적 조작기 -7~11세 구체적인 사물과 행위에 대해서만 체계적인 사고를 행함 보존 개념 획득 자아 중심성 극복 -탈중심화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 도덕적 판단이 발달하여 협동 놀이가 이루어짐 논.. 2023. 7. 24.
정신간호학 1-21 2.1 인간발달이론 1. 발달이론 1)정신성적 발달이론 -프로이트에 의해 제시 -가장 중요한 본능은 성본능이며 아동기의 경험이 성인인격에 결정적 영향 미침 -리비도 : 개인의 성적 에너지, 이 에너지가 집중된 신체부위를 성감대 (1)구강기(0~1.5세) 리비도가 입 주변 기관에 집중 빨고, 물고, 깨물고, 뱉고, 우는 행동으로 긴장을 완화 구강기적 성격 -과잉 만족 시 지나친 낙관주의 -자기사랑 -염세주의 -의존 -주는 것보다는 받는 것 좋아함 -의존적인 욕심쟁이 -입놀림 증가(질투, 선망, 불평, 담배, 과식, 껌씹기) (2)항문기(1.5~3세) 리비도가 항문과 그 주위에 집중되며 대변을 배설하거나 보유하는 데서 쾌감 대변을 보유하느냐 배설하느냐 문제로 부모와 갈등 ->부모에 대한 양가감정 항문기적 성.. 2023. 7.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