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기본간호학108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48 (3)관장의 종류 ①청결관장, 배출관장 목적 : 직장 내 대변 제거 청결관장액 종류 용액 양 작용기전 장점 단점 수용성 (저장성) 500~1000ml 결장 팽창, 연동운동 자극, 대변을 부드럽게 함 자극없어 직장질 환자에게 사용 가능 저장성 용액이라 수분증독증 유발 생리 식염수 (등장성) 500~1000ml 결장 팽창, 연동운동 자극, 대변을 부드럽게 함 노인과 유아에게 사용가능 나트륨 정체 가능성 비눗물 500~1000ml (물:비누 =200:1) 직장팽만, 대변수화 직장 점막에 화학적 자극 고장성 식염수 90~120ml 결장으로 수분 이동 관장용액 적어 피로와 통증 덜 느낌 수분, 전해질 불균형 초래 (저칼슘혈증, 고인산혈증, 탈수가능성 있음) ②구풍관장 장내 가스 배출시켜 가스로 인한 복부팽만 완화.. 2022. 2. 5.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47 4. 배변 간호 1)직장 내 좌약 삽입 (1)좌약 체온에 의해 녹는 구형 또는 타원 형태의 알약으로 직장 내 삽입 (2)목적 대변배출 증진 (3)효과 -건조한 대변을 부드럽게 함 -평활근 수축 증가시켜 직장과 항문강의 벽 자극 -이산화탄소를 유리시켜 직장을 더욱 팽만시켜 배변 유도함 (4)방법 -냉장고에 보관한 좌약 준비(좌약은 차게 두어야 삽입하기 쉬우며 녹지 않음)-심스 체위 취하도록 함 -천천히 심호흡 하게 함(근육이완 증진) -뾰족한 부분을 앞으로 해서 좌약을 성인 10cm, 소아 5cm 정도로 삽입 (좌약은 괄약근을 지나서 사지의 길이만큼 삽입해야 빠져나오지 않음) -대변 내로 좌약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좌약은 대변이 아닌 직장벽에 밀착시켜야 효과 나타남) -적어도 15~30분 정도 좌약을 보유.. 2022. 2. 4.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46 3. 장 배설의 문제 1)변비 3회/1주 미만의 배변활동으로 건조하고 딱딱한 변 (1)증상 -복부팽만, 직장 내 충만감 또는 직장압 증가 -배변 시 통증, 경련이나 팽만 -배변횟수 감소, 딱딱하고 건조하게 굳은 변 -식욕 감소, 완화제 사용 (2)변비 대상자 간호 ①정상적인 배변습관 형성 -일정한 시간에 배변할 수 있도록 함 -배변자세, 프라이버시 유지 ②수분 섭취 및 고섬유식이 권장 -2000~3000ml/일 수분 섭취 : 과일주스, 뜨거운 음료, 커피, 차 등은 이뇨제와 같은 효과이므로 물을 권장 -고섬유식이 : 과일, 채소 곡류 ③완화제/하제 투여 -부피형성 완화제 : 가스, 수분 등으로 덩어리를 증가시키고 변을 부드럽게 하여 배변 유도 -대변 완화제 : 물과 지방이 분변 속으로 침투하게 하여 변을.. 2022. 2. 3.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45 6.2 배변 1. 대장의 구조와 기능 1)대장의 구조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 결장, 직장, 항문으로 구성 2)기능 -수분, 요소, 전해질 흡수 -분변 형성, 배출 3)배변 (1)배변반사 -조절 중추 : 연수, 척수 -분변->직장 압력(30~40mmHg) 상승->배변반사 자극->부교감신경 자극->결장의 연동운동 강화, 내항문 괄약근 이완 -자의적인 조절 : 복부 수축, 외항문 괄약근 조절, 발살바 수기(심호흡 후 입과 콧구멍을 막고 숨을 내뱉으로고 할 때 배에 힘 주는 것) (2)배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노인은 연동운동이 감소되고, 회음부근육과 항문괄약근의 긴장도 감소로 배변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고섬유질 식이(생과일, 생야채, 모든 곡류)는 장에서 부피를 형성함으로써 연동운.. 2022. 2.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