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아동간호학243

아동간호학 1-142 5. 가와사키 질환1)특징(1)피부점막 림프절 증후군으로 신체 계통의 이상 초래(2)영아와 5세 이하의 아동에게 호발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열성 질환(3)여아남아(4)심혈관계에 일차적으로 발병-혈관염이 진행되면서 혈관벽에 손상을 일으킴(5)보통 질병의 급성기에 심근염이 발생(6)가장 흔한 후유증으로 관상동맥을 확장시켜 동맥류 형성 2)원인-정확한 원인은 알지 못함-면역반응-유전적 소인 3)특징적 증상(1)5일 이상 고열-항생제와 해열제에 반응하지 않는 발열(2)양측 안구의 결막 충혈-눈곱 없음-보통 분비물이 없는 충혈(3)구강 점막의 변화-입술 홍조-마르고 갈라짐-딸기 모양의 혀(4)사지 말단의 변화-손발 부종-손바닥의 홍반-갈라짐-피부 낙설(5)부정형 발진-몸통부터 시작-수포를 형성하지 않는 발진(6).. 2024. 11. 26.
아동간호학 1-141 4. 알레르기 자반증1)정의모세혈관과 세동맥의 염증이 특징적인 전신성 염증성 질환 2)특징(1)혈소판 비감소성 자반과 관절, 복부증상이 특징(2)남아>여아(2배)(3)봄, 가을에 호발(4)2~8세에 가장 호발(5)전신성 염증성 질환(6)초콜릿, 우유, 계란 등 음식이 원인이 될 수도 있음(7)관절증상은 영구적 손상 없이 수일 내 회복되며 신장침범이 예후에 가장 중요함 3)원인(1)상기도 감염 후 호발(2)약에 대한 과민성, 음식, 곤충 물림, 세균성, 바이러스성 감염 등으로 촉진 4)증상(1)혈소판 감소가 없으며 관절과 복부증상이 있고 전신적 반응이 나타남(2)대칭적 자반-붉은색->적갈색(3)하나의 관절 주위에 부종-두피, 귀, 입술, 손등과 발등에 심한 부종(4)관절염 증상이 다양하게 발생-무릎, 발목.. 2024. 11. 25.
아동간호학 1-140 3.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1)정의과도한 혈소판 파괴로 인한 혈소판 감소와 자반으로 특정지어지는 후천성 출혈성 질환으로 주로 2~8세에 발생, 다른 감염이 1~3주 전에 선행됨 2)증상(1)잦은 타박상(2)점상 출혈반, 일혈반(특히 뼈 돌출부위)(3)점막출혈-코피-잇뭄(4)내출혈-토혈-하혈-혈관절-과다월경(5)하지의 혈종 3)진단(1)혈소판 감소-2만 이하(2)출혈시간 연장(3)응고시간, 프로트롬빈 시간, PTT 정상(4)발병 1~3주 전에 성행 감염 확인-풍진-홍역-호흡기 감염 4)치료(1)FFP 수혈(2)심할 경우 스테로이드 사용(3)Anti-D 항체-활동성 출혈 환자 제외, 주입 후 48시간까지는 혈소판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출혈이 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외(4)면역글로불린(5)6개월 이상.. 2024. 11. 24.
아동간호학 1-139 5)혈우병 치료(1)결핍 인자 보충1>Factor Ⅷ 농축제 또는 Factor Ⅸ 농축제2>Cryoprecipitate-AHF 농축형에 Fibrinogen 첨가3>FFP (2)Corticosteroid -관절부위의 염증 감소-Aspirin, Indomethacin(Indocin), Phenylbutazone(Butazolidin) 같은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는 혈소판의 기능을 억제하므로 투여 금지 (3)Epsilon, Aminocapric acid(Amicar)의 국소 도포(경구투여)-응혈파괴 예방-구강이나 상처에만 사용-약으로 입을 헹군 후 삼키도록 함 (4)규칙적인 운동과 물리요법-관절주위의 근육 강화-자연 출혈의 횟수를 감소시키고 출혈 국소화에 유용함 6)교육AHF(항혈우병인자, Anti-hemoph.. 2024. 11.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