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아동간호학243

아동간호학 1-146 3)비뇨기계 장애 증상(1)혈뇨(2)소변량이 감소됨(3)부종(4)고혈압(5)식욕부진(6)창백(7)민감(8)무기력(9)두통(10)복부 불편감(11)배뇨곤란(12)구토(13)빈혈(17)합병증으로 뇌증이 쉽게 발생 4)진단(1)혈뇨(2)단백뇨(3)요비중 증가(4)BUN, Cr의 혈중 농도 상승(5)적혈구 침강속도 증가 5)치료(1)대증요법-증상 완화(2)항생제(3)혈압 하강제(4)Digitalis 투여(5)발작 시 항경련제 투여(6)필요 시 이뇨제 투여(7)심한 부종 및 울혈 시 투석 6)간호중재(1)수분 불균형 감시-매일 체중 측정-섭취량 및 배설량 측정-활력징후 측정(2)영양공급과 식욕증진-저염식이-식욕저하가 동반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영양 공급(3)급성기 시 침상 안정(4)급성기 이후 점차적으로 적절한 .. 2024. 11. 30.
아동간호학 1-145 6.3 비뇨기계 장애급성 사구체신염1)특징(1)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의 부산물로써 신장에 발생하는 면역복합체 질환으로 여겨짐(2)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면서 중증도의 단백뇨와 혈뇨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음(3)대부분 상기도 감염 혹은 피부 감염 1~3주 후 발병(4)6~7세에 호발-학령 초기 발병(5)남아(2배)>여아(6)예후는 좋은 편으로 아동에서는 95% 이상이 완전 회복됨 2)원인(1)면역복합체질환으로 여겨지고 발생기전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에 대한 반응이라고 알려짐-연쇄상구균 감염 이후 1~2주 동안 항원물질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고 항원-항체 면역복합체 반응이 일어나 이 면역복합체가 신장의 사구체 기저막에 걸리면서 사구체의 손상이 초래됨(2)박테리아(3)바이러스.. 2024. 11. 29.
아동간호학 1-144 (3)가와사키 수술적 중재-심장동맥 확장술-관상동맥 바이패스이식술-심장이식 등 8)간호중재(1)심장병 예방-심장상태 지속적 모니터링-매년 추후 검사(2)탈수 방지-섭취량/배설량 확인-체중 확인-적절한 영양과 수분 섭취 권장(3)소화되기 쉽고 가벼운 음식 제공(4)체온 조절-미온수 목욕-약물 요법-안정 취하기(5)안위와 휴식 제공-조용한 환경 제공-급성기 시 절대 안정-방을 어둡게 하여 수면을 증가시켜줌(6)피부간호-열상 예방-소양증 완화 위해 로션 제공-입술 균열 시 바세린 도포(7)성장 및 발달 증진(8)혈중콜레스테롤 관리 필요(9)혈압 관리(10)음식은 살균된 것으로 제공(11)부드러운 음식 제공(12)관절염 생기면 수동적 운동 시행(13)고용량의 아스피린 투여 시 독성 증상 교육-이명-두통-어지러움.. 2024. 11. 28.
아동간호학 1-143 5)가와사키병 진단-급성기 시 단백뇨, 백혈구 증가(1)가와사키병의 진단 기준-다음의 여섯 가지 증상 중 5가지 이상의 증상이 보일 경우 진단1>5일 이상의 지속되는 발열-다른 증상이 동반되면 발열 기간이 짧아도 진단 가능2>양측 결막의 충혈-삼출물 분비 없음3>구강 점막의 변화-홍반-건조-입술 갈라짐-인두가 붉어짐-딸기모양의 혀4>말초부종과 손바닥의 홍반5>조갑박리6>발진7>경정맥의 임파선 종창-1.5cm 이상의 크기 6)합병증(1)무균성 뇌막염(2)심질환-울혈성 심부전-부정맥(3)심근경색증-치료하지 않을 경우 20~25%에서 심장의 합병증이 발생함 7)치료(1)면역글로불린 투여발열기간을 감소시키고 관상동맥의 기형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10일 가량 고용량 면역글로불린을 주입함 (2)아스피린 투여1>초.. 2024. 11.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