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스테로이드9 성인간호학 2-192 3)신증후군 증상 -단백뇨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혈증 -과응고상태 4)신증후군 치료 (1)단백뇨 조절 단백질 적당히 제한 -고단백식이는 오히려 신기능 악화 ->소변으로 알부민 배설량 증가시킴 사구체 내부 압력 낮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 (2)부종 조절 저염식이 수분섭취 제한 신중한 이뇨제 사용 I/O 측정 복부둘레 및 사지둘레 측정 (3)고혈압 조절 식이 염분 제한 ACEI, ARB 이뇨제 칼슘통로차단제 (4)고지혈증 조절 저지방식이 콜레스테롤 줄이는 식이 (5)과응고성 장애 조절 -심부정맥혈전증 또는 폐색전증 같은 임상 변화 있을 때 헤파린 사용 (6)기타 증상 조절 신증후군 장기간 지속 스테로이드 호르몬 치료 ->칼슘, Vit D 보충 5)간호중재 (1)감염예방 :단백질 소실.. 2023. 3. 27. 성인간호학 2-90 3)다발성 경화증 (1)정의 -뇌, 시신경, 척수 백질 등의 수초가 탈락되는 것으로 중추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신경질환 (2)원인 -자가면역질환 -유전적 소인 -바이러스 감염과정 등과 관련 -15~50세 여성에게 호발 (3)병태생리 -중추신경계의 백질에 산재성의 수초탈락->신경자극 전도이상 (4)증상 -중추신경계에 반흔 조직이 퍼지면서 만성적, 점진적으로 악화와 회복 반복 -소뇌침범 : 조화운동 불능, 떨림 -지속적인 근허약과 피로 -경직(특히 하지) -비정상적 열감(대상자의 약 80%) -비정상적인 반사 -시력·청력장애 -운동장애 -감각이상 -방광기능 이상 -구음장애 및 신경계 행동증상(Ex, 우울, 인지장애, 정서불안 등) (5)진단검사 -척수액 검사 : lgG 증가 -MRI : 신경계의 백질 .. 2022. 12. 15. 성인간호학 1-113 (4)심근경색 급성기 치료 EKG 확인 산소공급 Nasal prong 통해 2~4L/min 산소 공급 투약 -Aspirin : STEMI(ST분절 상승 MI)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게 투여 -Nitroglycerin : 대부분 환자에게 설하로 투여(SBP 90이하 시 금기), 사망률 감소 효과는 약하지만 통증 감소에 효과적 -Morphine : IV 투여(부작용 : 서맥, 호흡저하, 변비, 기면, 불안, 오심) -B-blocker : 금기 없다면 다른 치료와 관계없이 경구 또는 IV 투여 -Ca2+ 차단제 : AMI에는 효과 거의 없음 -스테로이드, Nsaids : 경색부위 치유 지연, 심근 파열 위험을 높이므로 금기 재관류요법 심근경색을 일으키는 관상동맥의 혈류를 적절한 시기에 회복시켜 경색이 일어난 부.. 2022. 8. 5. 성인간호학 1-81 5)천식 진단 (1)폐기능검사 FVC : 정상 또는 감소, FEV1 : 감소, FEV1/FVC : 감소 기관지 확장제 투여 후 검사 : 12%이상의 FEV1 증가 RV(잔기용적) : 증가 (2)동맥혈 가스검사 산소분압 : 감소(무증상인 경우는 정상일 수 있음) 이산화탄소분압 : 경증 발작 시 감소, 중증 발작 시 증가 pH : 경증 시 증가, 중증 시 감소 (3)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 천식의 원인 항원을 확인하고 아토피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 (4)객담검사 객담 내 호산구 증가, lgE 증가 6)치료 (1)기관지 확장제 B2-agonist : B2 수용체에 작용하여 기관지 평활근 이완, 특정 염증세포 억제 -단기작용 : Albuterol, Terbutaline -장기작용 : Salmeterol, Fo.. 2022. 7. 4.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