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스테로이드9 아동간호학 요약 1-22 3)하부 기도관 감염(1)기관지염1>원인-바이러스-상기도 감염-전염병-공기오염-추운 날씨-알레르기2>특징-마른 기침-휘파람 같은 소리-흉곽 전반에 통증-거칠고 습기 있는 나음과 천식성 천명과 같은 고음의 수포음-분비물은 점차 화농성으로 변하고 기침 심함3>치료-증상에 맞는 대증 요법-크룹 텐트 적용 2. 비뇨기계 장애1)신증후군(1)병태생리1>사구체 단백질 투과성 증가2>다량의 요단백 상실3>저단백혈증4>교질삼투압 감소5>혈관 내 혈액량 감소6>신장의 혈류 감소7>알도스테론 분비 증가8>세뇨관의 나트륨이온과 수분 재흡수9>부종 (2)증상1>4대 증상-단백뇨-저알부민혈증-고지혈증-부종2>급성 감염 동반 시 전신 부종3>창백4>불안정5>식욕 감소6>진한 색의 거품 나는 소변7>혈뇨8>사구체 여과율 감소9>고.. 2025. 2. 25. 아동간호학 1-187 5)전신성 홍반성 낭창 증상(1)근골격계-관절통-종창-아침에 손과 손목, 무릎에 강직 발생(2)피부-뺨과 코 주위 나비 모양 발진-자외선 노출 시 악화-추위에 민감(3)이차감염-홍반-반점(4)심폐기관-심낭염-늑막염(5)위장계-식욕부진-오심-구토-복통(6)신장계-사구체 염증-단백뇨-혈뇨-고혈압(7)신경계-발작-경련-두통-무도병(8)혈액계-용혈성 빈혈-백혈구 감소증-림프구 감소증-혈소판 감소증(9)기타-미열-피로-체중감소-빈혈-반상 출혈-림프절 비대-감염에 취약해짐 6)진단-병력-신체 검진-혈청학적 검사 7)치료(1)스테로이드 제제 투여-염증 완화(2)증상이 심하거나 신질환 재발 시 면역억제제 투여(3)세포 독성 약물, 항말라리아 약물, 항응고제 투여 8)간호중재(1)V/S(2)I/O(3)통증 부위 사정(4.. 2025. 1. 10. 아동간호학 1-185 5)소아 류마토이드 관절염 진단-ESR 증가-CRP 증가-WBC 증가-ANA는 소수 관절형과 다수 관절형에서 나타날 수 있음 6)치료(1)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로 시작-아스피린이 주 치료제였으나 레이증후군 관련성 때문에 다른 NSAIDs 사용->진통, 해열, 항염증 작용(2)점차 면역억제제로 변경(3)스테로이드 투여-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전신형 환자-심막염-심근염에 의한 심기능 부전 시-일반적으로 부적합하므로 초기부터 사용하지는 않음 *스테로이드 부작용고혈압체중 증가감염 은폐달 모양의 얼굴다모증 7)간호중재(1)통증 경감-아침에 온습포-따뜻한 통목욕(2)아스피린 다량 복용 시 독성 증상 사정 *아스피린 독성 증상이명(귀울림)청각 소실위염위궤양기면호흡곤란빈맥 (3)물리 치료-하루 2~3회.. 2025. 1. 8. 성인간호학 2-234 쿠싱증후간호중재 감염예방 -감염원 노출 방지 : 사람 많은 곳 피함, 개인위생, 손씻기 -약간의 체온 상승이나 감염 증상 있을 때 즉시 확인 후 치료 손상 예방 -낙상, 골절 예방 -보호적 환경 조성 -근육소실, 골다곹증 최소화 : 단백질, 칼슘, Vit D 풍부 식이 -체중 증가 예방 : 열량, 나트륨 낮은 음식 -고혈압 징후 확인 : 두통, 시력장애, 정서적 불안, 기립성 저혈압 피부 통합성 유지 -피부청결유지, 보습제 -반창고 사용주의, 부드러운 칫솔, 전기면도기 사용 -출혈예방 : 천자 후 충분한 지혈 -손상부위 자주 사정, 체위 변경 신체상 증진 -신체 변화들은 치료 후 호전 -저지방, 저탄수화물, 저염, 저열량, 고단백식이로 신체 증상 조절 -처방에 따라 수분 제한, 칼륨 보충 휴식과 활동 권.. 2023. 5. 8.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