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본간호학108 기본간호학 2 요약 -2 6)건강 모델 종류 특징 임상 모델 건강이란 질병이나 증상 및 징후가 없는 상태(좁은 의미) 건강·질병 연속성 모델 건강과 질병은 유동적이며 인간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광범위한 적응 능력이 있음 병인·숙주·환경 모델 건강과 질병의 수준은 병인, 숙주, 환경의 역동적인 관계에 의해 좌우 고도의 안녕모델(Dunn) 건강과 환경 축이 교차하는 건강좌표로 질병-건강 연속선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설명 건강신념모델 개인의 건강관련 행위에 있어 지각을 중요시함 7)Pender의 건강증진 모델 정의 건강증진모형은 건강을 추구할 때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다차원적 본질을 묘사하기 위하여 제시 직접적 영향 (인지-지각요인) -건강증진 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 -활동에 대한 지각된 장애 -지각된 자기 효능감 -행동과 관.. 2022. 3. 29. 기본간호학 2 요약 -1 1. 간호의 기본개념 1)인간의 정의 체계이론 인간은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개방체계로 환경 안에서 모든 자극에 대처할 수 있는 각기 다른 적응 영역을 지닌 존재 행동이론 인간은 환경 안에서 통합된 총체로서 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과거의 행동 중 만족스러운 행동을 선택하여 내외적인 환경 간의 안정 상태를 유지하려함 통합론적 인간은 분리될 수 없는 통합된 전체로서 능동적이며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부분의 합이 아닌 전체로서 부분의 합보다 크며 독특하고 고유한 개체 2)인간의 기본 욕구(Maslow 기본 욕구 이론) 생리적 욕구 공기, 영양, 수분, 배설, 휴식 및 수면, 체온조절, 성의 욕구 등 안전, 안정의 욕구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환경의 안전 등 사랑과 소속감의 욕구 사랑, 주고받는 .. 2022. 3. 28.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97 2. 수술 후 환자 간호중재 1)회복실 -수술 직후 수술 팀으로부터 환자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인계 받아 계속적인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함 -O2 mask, Pulse oxymetry, EKG, NIBP 등 Monitoring 시행 -수술부위 출혈유무, 각종 Catheter 및 Tube, Drain의 상태 확인 -활력징후, 의식 수준 사정 -환자가 회복되어 정상적인 의식상태가 회복되면 병실로 이동 2)병실의 간호 (1)호흡기능 사정 -환자가 병실로 돌아오는 즉시 간호사는 의사의 응급 처방이 있는지 확인하여 시행하는 동시에 환자의 호흡기능 사정을 하고, 사정 내용은 수술 후 기록지에 기록함 -환자가 회복실에서 돌아오면 호흡상태의 측정은 15분 간격, 차츰 안정되면 30분 간격, 2시간 간격으로 대부분의 경.. 2022. 3. 27.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96 17.2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역할 -수술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함 -수술에 필요한 기계 및 물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순환간호사에게 지시함 -직접 또는 의사와 함께 수술환자의 수술부위를 방포함 -수술의사에게 수술과정에 필요한 물품 제공 및 처리 -수술 전 과정에 있어서 무균술을 철저히 지킴 -스폰지, 거즈, 바늘, 기구 등의 숫자 확인 -수술이 끝난 후 사용된 기구와 물품을 절차에 따라 처리함 2. 순환간호사의 역할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수술실의 청결을 유지 -수술 상의 필요 물품 공급 -수술 전 과정 동안 대상자의 신체적, 정서적 상태 사정 -수술 중 간호를 계획하고 조정 기록 -검사나 배양을 위한 검사물 관리 -수술실 조명 조절 17.3 수술주기 간호중재 1)위험 요인 사정 -위.. 2022. 3. 26. 이전 1 2 3 4 5 6 7 8 ··· 2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