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04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12 2.7 기록과 보고 1. 기록 1)기록의 목적 (1)의사소통 건강관리요원간의 의사소통 수단 (2)처방 (3)자료의 출처 간호계획 시 자료로 활용 (4)평가 목표와 기대되는 결과를 확인, 대상자가 받은 간호의 질과 간호사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 (5)법적 문서 법적 소송에 증거로 제출 (6)의사결정 간호전략 수집 시 필요한 정보 제공 (7)연구 연구를 위한 자료의 출처, 통계자료로 활용 (8)교육 대상자 기록을 통해 건강문제의 증상, 치료, 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파악 (9)치료비용 상환 근거 (10)통계 통계자료를 미래의 예측이나 정책 수립에 이용 2)기록의 유형 (1)서술식 기록 -의무기록의 가장 전통적인 방법 -대상자의 문제나 상태 설명, 관련된 간호중재와 대상자의 반응, 간호계획의 수정.. 2021. 12. 31.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11 2.5 수행 1. 간호수행 -간호지시뿐만 아니라 의학적 지시 수행 -간호 계획의 실행 -간호사의 대인관계 기술 활용 -간호에 대한 환자의 반응 확인 1)직접 간호 :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행되는 생리적·사회 심리적 간호행위 2)간접 간호 : 대상자에게 직접 수행되지 않지만 대상자의 환경, 기록, 다학제적 협력 등을 관리하는 행위 포함 2. 간호수행 기술 1)인지적 기술 (1)문제해결, 의사결정, 비판적 사고, 창조적 사고 요구 (2)간호사는 중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알아야 하고, 정상과 비정상적인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반응을 인지해야 함 (3)대상자의 학습요구를 파악하여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함 2)대인관계 기술 (1)다른 사람과 직접 의사소통 할 때 사용하는 언어적, 비언어적 활.. 2021. 12. 30.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10 2.3 진단 병원정보체계의 발달로 컴퓨터로 간호진단(NANDA)을 찾고 각 간호진단에 대한 간호결과(NOC)와 간호수행(NIC)을 연결하는 NNN체계가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음 1.간호진단 1)정의 (1)건강과 관련된 문제를 알아내는 것 (2)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수집된 자료가 정상 혹은 비정상적인지에 대한 결정의 결과물임 (3)배타적인 간호의무로 질적인 간호제공을 용이하게 함 (4)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건강문제의 반응에 대한 임상적인 판단 (5)간호문제를 표준화된 언어로 표현한 것으로 간호중재 선택의 기초를 이룸 (6)한 환자가 여러 개의 진단을 가질 수 있음 (7)자주 변하고 수정될 수 있음 (8)결과는 간호사의 책임 2)우선순위 (1)Maslow의 욕구 계층 이론을 이용한 방법 (2)생명에 위협이 되.. 2021. 12. 29.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9 2.2 사정 1. 간호사정의 개념 1)간호사정의 정의 자료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수집, 조직, 기록 2)간호사정의 목적 -환자의 건강 및 질병패턴에 대한 자료, 정상이탈, 강점, 대처능력, 건강위협요인 등에 대한 자료 제공 -완전하고 정확한 자료는 다른 간호과정 단계를 위한 기반 제공 2. 자료 수집 1)자료의 유형 (1)객관적 자료(징후, 공개된 자료)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사실 Ex)혈액 검사 수치, I/O, 부종, 발적 등 -활력징후, 신체 지표, 주관적 자료의 검증 ·신체검진 : 시진, 촉진, 타진, 청진 ·행위의 관찰 : 대상자가 하는 것을 실제로 봄 ·의무기록 : 질병력, 검사 결과, 진단적 자료 및 의사의 치료계획 등 ·기타 자원 : 간호 및 의학 문헌 고찰 (2)주관적 자료(증상,.. 2021. 12.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