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운동 실조4

아동간호학 1-200 5)신생물 일반 증상(1)두통1>지속적 혹은 간헐적으로 발생2>불안해하며 머리를 앞뒤로 움직임3>깨어날 때 심하고 낮 동안에는 덜함4>ICP 상승 시 더욱 심해지고 지속적으로 나타남 (2)구토1>아침에 침상에서 일어날 때 주로 발생-갑작스런 직집으로 뇌척수액의 역동성이 빨리 변하기 때문2>잠행성이며 오심 없음3>연수가 압박을 받으면 투사성 구토로 변형 (3)운동 실조1>소뇌 종양에서 호발-근력 저하-과민 반응2>하지 쇠약3>바빈스키 반사 양성4>마비5>정상 근육 조화 결여 (4)활력징후의 변화1>ICP 상승으로 연수 압박-서맥-느린호흡-불규칙한 호흡-호흡곤란-혈압 상승 (5)행동 및 정서 변화-기면-불안-안절부절 못함 (6)시력장애-천막하 종양 시 호발-사시-복시-시야 결손 (7)유두부종1>시신경 유두의.. 2025. 1. 23.
아동간호학 1-199 7.8 신생물1)특징(1)주로 천막(대뇌와 소뇌 사이의 중간 막)하에 발생(2)아동의 경우 대부분 신경교종 발병(3)성인보다 진단 어려움(4)초기 증상이 비특이적 2)원인-유전적 요인-환경적 요인 3)병태생리(1)두개 내 신생물(2)뇌척수액 순환 폐쇄(3)두개내압 상승(4)종괴의 직접적인 압박 4)종류 및 증상(1)수아세포종1>성장 속도 빠름2>아동에게 흔함3>여>남4>4~8세에 호발5>제4뇌실 페색-소뇌 반구로 확대6>구토, 기면, 두통, 유두부종 등 (2)소뇌 성상세포종1>성장 속도 느림2>아동기 및 초기 성인 시 발병3>5~9세 호발4>소뇌 반구 일측에서 주로 발병5>초기에 구토, 두통6>유두부종7>운동실조8>안구진탕증9>반사 감소 (3)상의세포종1>아동에게 적게 나타남2>2~5세 호발3>ICP 상.. 2025. 1. 22.
아동간호학 1-74 2. 수두증-뇌수종이라고도 함1)정의 및 특성(1)뇌척수액의 생성, 순환, 흡수의 불균형으로 뇌에 비정상적으로 뇌척수액이 축적된 상태(2)뇌척수액은 측뇌실의 맥락막총에서 생성, 뇌실계 순환, 지주막하 공간으로 흡수됨(3)수맥 척수류와 동반되기도 함 2)증상-뇌압 상승이 가장 특징적(1)영아기-두개봉합이 폐쇄되기 이전 단계이므로 두위 증가가 가장 특징적임1>비정상적으로 빠른 머리의 성장2>두부확장을 동반하거나 하지 않는 대천문 팽창3>영아가 울 때 두피정맥의 확장이 두드러짐4>움푹한 눈, 아래로 전위된 눈으로 인해 공막이 동공 위로 보이는 일몰징후 유발5>뇌압 증가로 두개골 얇아지고 봉합선 분리되어 타진 시 둔탁하고 항아리 깨지는 소리가 나타남-Macewen 증상6>불안정, 무기력, 잘 먹지 않으려 함, .. 2024. 9. 18.
정신간호학 1-170 (5)기분안정제 독성증상 -탈수 -염분섭취 부족 -신장기능 장애 발생 가능 -적정량의 염분 섭취 -적당한 수분 섭취 중요 ->독성 예방 증상 특징 가벼운 증상 (혈중농도 1.5mEq/L 미만) -약간의 무덤덤함 -기면 -나른함 -집중력 저하 -어눌한 말씨 -경한 근위축 -근연축 -거친 손떨림 -경한 운동실조증 보통 증상 (혈중농도 1.5~2.5mEq/L) -심한 설사 -오심 -구토 -중증도 운동 실조 -중증도의 무감동 -기면 -나른함 -중증도의 어눌한 말씨 -이명(종 울리는 소리) -시야 흐림 -불규칙한 진전 -근육의 허약 심한 증상 (혈중농도 2.5mEq/L 이상) -안구진탕증 -구음장애(불분명한 발음) -심부전 과잉반사 -환시 -환촉 -빈뇨 -무뇨 -혼돈 의식 손상 -발작 -혼수 혹은 사망 (6)주의.. 2023. 12.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