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비뇨기계51

성인간호학 2-158 8.2 비뇨기계 기능 사정 1. 주증상 분류 증상 정의 관련요인 소변량 무뇨 -100mL/일 이하의 소변 -신부전 -요로완전폐색(외상, 종양) 등 핍뇨 -100~400mL/일 -30mL/hr 이하 -신부전, 소변정체, 요로폐색, 외상, 중독, 허혈 등 다뇨 2500~3000mL/일 이상 -당뇨, 호르몬 장애, 요붕중, 배설과 다성 신부전 등 소변 성상 혈뇨, 마이오 글로빈뇨 -색의변화 -산성소변 : 뿌옇고 혼탁 -알칼리성소변 : 붉은색 -암, 결석, 감염, 신장염, 방광염, 외상, 도뇨관 제거 후, 월경 -마이오글로빈뇨 : 신체적 과로, 심한 손상에 의한 근조직 파괴 세균뇨, 농뇨 -투명도 변화 : 혼탁함, 악취 -감염증 의미 당뇨 -소변에 비정상적으로 당이 포함 -고당질식이 -당뇨병 단백뇨 -소변에 단.. 2023. 2. 21.
성인간호학 2-157 2)수분과 전해질 균형 (1)Na+ -근위세뇨관(80% 능동수송)과 원위세뇨관(20% 알도스테론)에서 재흡수 -Na+ 능동적 재흡수 : Cl-과 HCO3-의 수동적 재흡수 촉진 (2)K+ -근위세뇨관에서 완전 재흡수 -원위세뇨관에서 분비(알도스테론에 의해 재흡수 억제) (3)수분조절 -네프론의 희석과 농축 기전을 통해 조절(소변의 농축과 희석) -항이뇨호르몬(ADH) : 원위세뇨관, 집합관에 작용, 삼투압 높아지면(Na+농도 증가) 분비->소변 배설 감소 3)산·염기 균형 (1)신장을 통해 H+, HC03-를 배출하여 균형 유지 (2)소변 pH 5~7(약산성) (3)산중 상태 -H+이 근위세뇨관, 원위세뇨관, 집합관으로 분비되어 소변으로 배설 -H+ + HCO3- -> H2CO3 -> H2O(소변으로 배.. 2023. 2. 20.
성인간호학 2-156 2. 요로의 구조 -요로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 1)요관 신우에서 방광까지 소변을 운반 2)방광 -골반의 치골결합 후면에 위치한 소변을 모으는 평활근 주머니 -방광벽 : 탄력성 주름으로 확장가능(용량 : 300~500mL)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지배(요도괄약근은 수의조절) 3)요도 -방광의 기저부에서 외부로 소변을 운반, 배설하는 출구 -여성 : 길이 3~5cm -남성 : 길이 16~20cm 3. 신장의 기능 1)소변 생성과 배설 -하루 1500mL 소변 배출 -소변배출량=사구체 여과+세뇨관 분비-세뇨관 재흡수 (1)사구체 여과 사구체 -모세혈관망 -반투과성 막 여과 -혈장단백질, 지방, 혈구세포 같이 분자량이 큰 물질은 통과 못함 -여과된 성분에는 요산, 요소, 아미노산, 포도당, 물 등.. 2023. 2. 19.
성인간호학 2-155 (2)네프론 -신간의 기능적 단위 -각 신장마다 약 100만개 이상 존재 -신소체+신세뇨관계로 구성 신소체 -사구체+보만주머니 ·사구체 -모세혈관총 -여과기능 담당 ·보만주머니 -사구체를 둘러싼 주머니 -여과액이 세뇨관으로 유입 세뇨관계 -근위세뇨관+헨레씨고리+원위세뇨관+집합관 ·근위세뇨관 -신장 여과물질의 70% 재흡수 ·헨레씨고리 -하행부위(수분투과도 증가) -상행부위(수분투과도 감소, 전해질 재흡수) ·원위세뇨관 -재분비 ·집합관 -소변 농도 결정 여과(혈액에서) 재흡수(혈액으로) 분비(혈액에서) 사구체 -수분 -Na+, K+, Cl-, 포도당, 요소, 요산염, 단백질, 아미노산, 중탄산염, 크레아티닌, 인, 이눌린 근위 세뇨관 등장성 여과 -80% 수분과 전해질, 100% 포도당과 아미노산 -Na.. 2023. 2.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