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배뇨18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42 5. 비정상 소견 분류 증상 정의 소변량 무뇨 100ml 이하/24시간 핍뇨 100~400ml/24시간 이하. 30cc/hr 이하 다뇨 3000ml/24시간 이상 소변 양상 혈뇨 -색의 변화 -산성소변 : 뿌옇고 혼탁 -알칼리성소변 : 붉은색 세균뇨, 농뇨 투명도 변화 : 혼탁함, 악취 당뇨 소변에 비정상적으로 당이 포함됨 단백뇨 -소변에 단백질 함유 -과다한 거품이 생성되는 소변 배뇨장애 배뇨곤란 배뇨 시 통증/작열감, 불편감 빈뇨 1일 배뇨 횟수 증가(10회 이상) 또는 소량 자주 배뇨 긴박뇨 요의를 긴박하게 느낌, 참을 수 없음 야뇨 밤에 소변을 보기 위해 깨는 것(수면 주기 동안 2번 이상 반복) 배뇨지연 배뇨시작이 지연되고 어려움 요실금 -배뇨통제 기능의 상실을 말하며 노인에게 많이 발생 -소변.. 2022. 1. 30.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41 6.1 배뇨 1.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1)비뇨기계의 구조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 -남성의 요도 : 15~20cm -여성의 요도 : 3~6cm(남성에 비해 요도가 짧아 빈번한 요로감염의 위험성) 2)배뇨 배뇨근의 수축, 내·외요도괄약근의 이완, 복벽과 회음부 근육의 수축, 횡격막 하강 등의 비뇨생식기계, 자율신경계, 중추신경계의 작용으로 유도 (1)바광 내 200~300ml의 소변 축적→신장감수기 흥분→배뇨반사중추(천골 2~4번)→부교감신경 자극→내부괄약근 이완, 배뇨 (2)시간과 장소 부적절 : 배뇨 반사 억제(외괄약근 수축 : 수의적 조절) (3)1500~2000ml/일 배뇨 2. 소변의 특성 특성 정상 비정상 원인 양 1500~2000ml/일 - 3000ml -수분섭취 감소, 과도한 수.. 2022. 1.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