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관절12 성인간호학 2-140 1.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 정의 -활막 관절 내의 결합조직의 염증성 변화가 나타나는 만성적, 전신적 자가면역질환 -여러가지 관절 외의 증상 동반 -30~50대에 호발 -여성에게 주로 호발 -국소적 관절에 점진적인 관절연골의 소실 및 그와 관련된 이차적 변화와 증상을 동반하는 만성적, 비염증성 질환(퇴행성변화로 발생하는 비염증성 질환이지만 이후 뼈의 마찰 등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음) -노인에게 주로 호발 원인 -유전적 -감염과정에 의한 자가면역기전 -관절 연골의 마모와 파열 : 외상, 기계적 스트레스. 염증, 기형, 약물 등 증상 -대칭적 증상 -활액막의 비후, 활액막 조직이 판누스 형성->관절 연골의 미란, 연골하 뼈 손상 -초기 : 피로감, 미열, 전신적 근골격계 .. 2023. 2. 3. 성인간호학 2-139 5. 절단 1)정의 환자의 생명과 안위를 위하여 신체의 일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2)원인 (1)말초혈관질환 -원인 중 70% -노인의 동맥경화증 -당뇨병 합병증 (2)외상, 감염, 종양, 신경손상, 선천성 기형 3)절단 방법 (1)개방성 절단 -환부를 단면으로 절단하는 것 -주로 감염이 심할 때 적용 -환부 상처 치유 후 절단부를 봉하기 위한 재수술 (2)폐쇄성 절단 -절단부를 피부로 봉합하는 방법 -감염의 위험 없을 때 시행 4)하지절단 대상자 간호 (1)관절구축 예방이 최우선 관절 구축을 유발하는 자세 -절단부를 외전 시키는 것 -둔부나, 슬부 아래에 베개를 놓는 것 -침대에 절단부를 걸쳐 놓는 것 -절단부를 내려놓은 채 휠체어에 앉는 것 -대퇴 사이에 베개를 놓는 것 -척추를 구부리는 것 -무.. 2023. 2. 2. 성인간호학 2-123 7.3 근골격계 손상 1. 일반적 외상 1)타박상, 좌상, 염좌 타박상 좌상 염좌 정의 둔탁한 힘에 의한 연조직 손상 건(근육~뼈)이 과신전되거나 근육이 심하게 긴장될 때 인대(뼈~뼈)가 늘어나거나 찢어진 상태 원인 -걷어차거나 넘어지는 것 -구타, 무딘 물체로 맞음 격렬한 운동 -교통사고, 작업장 사고 -낙상 -격렬한 운동(운동선수 호발) 증상 -피하출혈 -반상출혈(멍) -상처부위 부종 -통증 -갑자기 심한 통증 -부종 -반상출혈(멍) -인대열상 -반상출혈(멍) -종창 -심한 통증 치료 -자연치유 -혈종 : 흡인, 절개 -손상 부위 호발 -PRICE 요법 적용 -손상 부위 보호 -PRICE 요법 적용 간호 중재 -P(Protection) : 손상부위 보호 -R(Rest) : 안정, 손상된 관절 쉬게 함.. 2023. 1. 17. 성인간호학 2-121 3)진단검사 침습적 검사 (1)골스캔 -뼈에 흡수되는 방사선 동위원소를 주입한 뒤 방사능 분포 양상 확인 -악성 종양, 골수염, 골다공증, 병리적 골절 진단에 유용 -방사성 물질은 조골세포의 활동이 증가한 부위에 축적되어 검은 점으로 나타남 -검사 후 24~48시간 동안 다량의 수분 섭취 권장 (2)관절강 조영술 -외상성 손상이 의심될 때 사용 ->무릎관절의 연골이 찢어졌는 지 확인 -조영제나 공기를 관절강 내로 주사하고 X-ray 촬영 -검사 전 조영제 알레르기 확인 -국소마취하는 검사이므로 금식 필요 없음 -검사 후 12~24시간동안 심한 운동은 피함 (3)관절경검사 피부를 절개하여 내시경을 관절에 삽입하여 직접 관찰 =>관절의 급·만성 질환, 관절연골이나 인대의 손상 여부 파악 간호중재 -수술실에서.. 2023. 1. 15.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