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간호267 정신간호학 1-118 4.9 기질적 인지장애 1. 개념 1)뇌조직의 기질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초래된 정신기능의 장애 뇌조직의 영구적인 손상이나 일시적 뇌기능 장애에 의해 야기되는 정신 기능 장애나 행동장애를 나타내는 임상적 증후군 2)기질성 정신장애의 진단기준 (1)임상적 또는 신경방사학적 및 뇌파검사와 같은 검사 상에 신경학적 기능 이상과 관련지을 수 있는 증상이나 증후를 보이는 장애 (2)중치신경계에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거나 적어도 그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믿어지는 중독, 감염, 두부외상 또는 그 외 어떤 원인으로 생긴 장애 (3)뇌에 기질적 질환이 있다는 것이 병리학적으로 뚜렷이 증명되는 신경학적 변화 또는 뇌외상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갖고 나타나는 증상 즉 기억장애, 지남력 장애 또는 각성 상태의.. 2023. 10. 25. 정신간호학 1-117 2)약물 의존 환자 (1)약물 치료 1>길항제 치료 -남용약물의 약리효과를 차단하는 약물 투약 -Naltrexone HCl ->(ReVia) -Naloxone ->(Narcan) 2>대체제 치료 -남용약물과 유사한 약리작용을 가진 약물을 투여하는 치료 -해로인 중독->메사돈, 담배 중독->니코틴 패치 3>유지 치료 -일정 용량으로 안정시키는 장기치료 -경구 치료제 -Methadone ->(Dolophine) -LAAM ->(L-α-Acetylmethadol) 4>대증치료 -약리학적 기전은 남용약물과 관련이 없으나 약물남용의 증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약물 투여 -Benzodiazepine계 -수면제 -정온제 (2)간호중재 1>해독기간 중에 나타나는 증상 관리 2>물질 사용력 세밀하게 조사 3>대상자의 삶에.. 2023. 10. 24. 정신간호학 1-116 1)알코올 의존환자-2 (6)경련 및 진전 예방 1>친절하고 지지적 환경 제공 2>안정감 증진 3>신뢰감 증진 4>객관적이고 무비판적인 환경 5>억제 금기 -심한 요동으로 인하여탈진되거나 심장마비 우려 (7)불안감소 1>개방적, 지지적 분위기에서 치료적 관계 형성 2>감정 이입적 의사소통 3>자존감 증진 4>왜곡된 지각 및 공포를 제거하기 위해 방안에 항상 불을 켜두기 5>조용한 환경 유지 -TV, 라디오, 전축 등 자극 감소 6>간호에 항상 환자를 참여시켜 자신에 대한 존재 가치를 인식하도록 함 (8)심리 치료 1>동기강화 면담 -공감표현 -현재와 미래 목표 간의 차이 만들기 -논쟁하거나 방어적인 것은 피하기 -자기 효능감지지 2>현실 직면 3>개인 정신치료 -대상자의 문제와 정서 사회적 역동 파악 -.. 2023. 10. 23. 정신간호학 1-114 2)중추신경 작용 약물 특성-2 구분 종류 효과 및 증상 의존 및 위험성 신경 안정제 -발리움 -아티반 -리브리움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 -중추신경 억제제와 유사한 평온, 즐거움과 안정감, 발한, 감정 억제, 정신적 침체, 배뇨장애, 노여움, 긴장, 불안, 정신적 흥분, 언어장애 -억제제와 유사하나 보다 강함 -정신적, 신체적 의존 -술, 마약, 수면제와 겸용 시 상승효과 -시각장애, 현기증, 졸림 -금단증상 ->흥분, 오심, 감정억제 어려움, 경련 등 진정 수면제 -바비튜레이트 -페노바비탈 -세코바비탈 -중추신경계 억제 -동공 축소, 취한 행동, 말더듬, 억제, 사고 산만, 졸림, 멍청함 -과량 사용 시 무의식, 혼수, 호흡마비 -신체적 의존 심함 -정신적 의존 심함 -판단력 저하, 조정력 상실로 위험.. 2023. 10. 21. 이전 1 ··· 3 4 5 6 7 8 9 ··· 6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