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2-185

by leemy 2023. 3. 20.
728x90
반응형

3. 투석

요독증 증상의 개선이 불가능할 경우 체내 노폐물과 과잉수분을 인공적으로 제거하는 과정

1)원리

(1)확산

-반투과성막 통해 용질이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이동

-투석액 이동 :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전해질(K, P)

 

(2)삼투

-반투과막 통해 수분이 저농도에서 고동노로 이동

-수분의 양이 많은 곳에서 적은 곳으로 이동

-투석액 : 포도당을 첨가한 고농도 용액

 

(3)초여과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인위적인 압력 경사를 만들어 혈액 내 수분이 반투과막을 통해 투석액으로 이동

 

2)투석 종류


혈액투석 복막투석
정의 체외 투석기를 통하여 혈액 내 노폐물과 수분 제거 고장액을 복막강으로 순환시켜 노폐물과 수분 제거
장점 -짧은 치료기간 : 3~5시간
-노폐물, 수분 효과적 제거
-환자가 손으로 쉽게 조작 가능
-저혈압과 수분 전해질 불균형이 드묾
-혈액화학물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
-식이 제한이 비교적 적음(고단백식이 권장)
-혈액 역동적으로 불안할 때 사용 가능
단점 -전문적 직원, 장비 필요
-저혈압과 수분 전해질 불균형 자주 발생
-전신적인 헤파린 요법 필요
-긴 치료기간 : 10~14시간
(CAPD의 경우 1회 교환시간이 30분정도로 시간적 제약 덜 받음)
-복막염 위험
-복강 내 수분 축적 : 호흡 방해
-단백질 소실 위험
합병증 -감염
-공기색전
-출혈 : 헤파린 사용
-전해질 불균형
-혈액역동의 변화 : 저혈압, 심부정맥, 빈혈증
-투석불균형증후군 : 혈액투석 시 BUN 수치의 급격한 감소로 뇌부종 유발
-복막염(초기증상 : 혼탁하거나 불균형한 삼출액)
-단백질 소실 위험
-탈장 : 복압상승
-장천공
-호흡곤란, 고혈당, 출혈

금기증 혈액역동의 불안정한 상태 광범위한 복막유착, 복막 섬유증, 최근 복부 수술
간호 ·투석 후 부작용 감시
-저혈압, 구통, 오심, 권태감, 구토, 현기증, 경련
·활력징후와 체중을 투석 전 측정치와 비교
-저혈압 : 수분보충, 쇼크 체위
-투석하는 날 아침에는 항고혈압제 먹지 않음(합병증으로 저혈압 발생 위험 있음)
-과도한 체온 상승 : 패혈증 의심->혈액배양검사
·헤파린요법으로 출혈 위험 : 출혈 증상 감시, 정맥천자와 근육주사 피함
·저혈당 예방
-투석 전, 중에 식사, 투석 중의 식사는 개인의 취향에 따름
·좋은 영양상태 유지
-양질의 단백질 섭취, 적절한 열량 유지
-수분과 염분섭취 제한
-칼륨과 인 제한
-필수 약물 : 수용성 비타민, 철분, 인결합제
(알포젤 : 식사 중 또는 식사 후 씹어서 복용)
-칼슘 보충제, 활성비타민 D3, 항고혈압제
·복막투석에 관한 자료 환자 교육
·도관 삽입 후 상처치유기간(5~7) 이후부터 투석 시도
·투석 전, , 후 활력징후 관찰
·매일 같은 시간 투석액 배출 전, 후 체중 측정
·투석액 주입 중에는 반좌위 : 복강 내 투석액이 횡격막을 압박하여 호흡 방해하므로 기침과 심호흡 유도
·투석액은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데워서 사용
·복강 카테터 : 무균 드레싱(매일)
·통목욕 금지이나 매일 샤워 가능
·단백질 소실 예방 : 충분한 단백질 보충


*CAPD(지속성 보행성 복막투석)
-매일 2L의 투석액을 4회 복강에 주입하고, 투석액을 4~8시간동안 저류시킨 후 배액하는 자가 투석, 처방된 저류시간이 지나고 난 후 옷 속의 빈 백으로 배액하고 새로운 투석액을 주입하는 과정을 반복

 

728x90
반응형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2-187  (0) 2023.03.22
성인간호학 2-186  (0) 2023.03.21
성인간호학 2-184  (0) 2023.03.19
성인간호학 2-183  (0) 2023.03.18
성인간호학 2-182  (0) 2023.03.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