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신간호학180

정신간호학 1-170 (5)기분안정제 독성증상 -탈수 -염분섭취 부족 -신장기능 장애 발생 가능 -적정량의 염분 섭취 -적당한 수분 섭취 중요 ->독성 예방 증상 특징 가벼운 증상 (혈중농도 1.5mEq/L 미만) -약간의 무덤덤함 -기면 -나른함 -집중력 저하 -어눌한 말씨 -경한 근위축 -근연축 -거친 손떨림 -경한 운동실조증 보통 증상 (혈중농도 1.5~2.5mEq/L) -심한 설사 -오심 -구토 -중증도 운동 실조 -중증도의 무감동 -기면 -나른함 -중증도의 어눌한 말씨 -이명(종 울리는 소리) -시야 흐림 -불규칙한 진전 -근육의 허약 심한 증상 (혈중농도 2.5mEq/L 이상) -안구진탕증 -구음장애(불분명한 발음) -심부전 과잉반사 -환시 -환촉 -빈뇨 -무뇨 -혼돈 의식 손상 -발작 -혼수 혹은 사망 (6)주의.. 2023. 12. 17.
정신간호학 1-169 3. 기분안정제 1)리튬 (1)작용기전 신경과 근육세포 내에서 염분의 이동 변화시킴 1>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의 연접부위 전달 정상화하거나 안정화 2>갑상선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분비 억제 3>교란된 일주기 리듬 평형 4>세포내 전해질 균형 (2)기분안정제, 양극성장애 Ⅰ,Ⅱ의 조증 및 우울증 삽화의 치료에 우선적으로 사용 적정농도에 도달하여 효과 발현까지 2~6주 소요 ->약효 발효 전에는 보조악물 투여 Ex, Ativan, Haloperidol 등 (3)혈중농도 1>치료농도 -1.0~1.5mEq/L 2>유지농도 -0.6~0.8mEq/L 3>정기적인 검사 필수적 (4)부작용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신장기능과 관련된 부작용이 많음 ->치료 시작 전 신장기능 검사 -신기능, 심전도, 갑상선 및 .. 2023. 12. 16.
정신간호학 1-168 6)항우울제 부작용 및 간호중재 항우울제 부작용 간호중재 흐릿한 시야 일시적, 위험한 일 피함 구갈 수분 섭취 권장, 자주 가글, 무설탕 껌이나 사탕 섭취, 구강간호 제공 오심, 설사 음식과 함께 혹은 취침 전에 약물 복용, 필요 시 음식조절 요정체 수분 섭취 권장, 자주 배뇨, 배뇨습관 확인, 필요 시 도뇨 변비 수분 섭취, 고섬유소 식이 권장, 운동 권장, 배변습관 확인, 유연제와 하제 빈맥 일시적, 카페인 제한, 베타차단제가 효과적 EKG 변화 심장질환 과거력 사정, 40대 이상 성인과 어린이는 예방적으로 EKG 검사 저혈압 혈압 사정, 수분 섭취 권장, 탄력스타킹 착용, 천천히 자세 변경, 낙상 예방 고혈압성 위기 혈압 자주 사정 과도한 발한 자주 환의 교환, 면 소재 옷 권장, 수분 섭취 권장 .. 2023. 12. 15.
정신간호학 1-167 3)SSRI -선택적으로 세로토닌의 재흡수 차단 -노르에피네프린은 거의 차단하지 않음 -Fluoxetine(Prozac) -Sertraline(Zoloft) -Paroxetine(Paxil) (1)적응증 1>주요 우울장애 2>강박장애 3>식사장애 4>공황장애 5>일부 인격장애의 공격성 조절 6>일부 통증장애 7>월경 전 불쾌감 조절 (2)부작용 1>항콜린성 부작용 및 기립성 저혈압, 심장독성,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 거의 없음 2>위장관계 부작용 -오심 -구토 -설사 -복통 3>중추신경계 부작용 -불안 -초조 -두통 -진전 -발한 4>추체외로계 부작용 -드물지만 TCA보다는 빈도 높음 5>약물 중단 시 금단증상 발생 -불면 -오심 -구토 -초조 -어지럼증 4)MAOI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등.. 2023. 12.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