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신간호학180

정신간호학 1-4 6. 현대 1)배경 (1)제 2차 세계대전 이후 기초 과학과 의학 진보 (2)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낙인 감소 (3)환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적절한 치료 (4)지역사회에서 재활치료 마련 2)Otto Loewi 말초신경의 신경세포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화학물질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는 사실 발견 ->신경세포들 간의 화학전달에 대한 기초 확립 3)치료 (1)신체적 치료 인슐린 혼수요법 메트라졸 혼수요법 정신수술 전기충격요법 화학요법 (2)화학치료(약물치료) Lithium salt(기분 안정제) Chlopromazine(항정신병약) Benzodiazepine(진정제) Reserpine(조현병 지료) Imipramine(항우울제) (3)심리학적 치료 치료적 공동체 학습이론 적용 4)우리나라 정신간호의 발달.. 2023. 7. 2.
정신간호학 1-3 4. 17, 18세기 1)배경 (1)부자 정신질환자 -개인주치의 딸린 민간 정신병원에서 치료 (2)빈민 정신질환자 -재판관이 ‘위험하다’고 판단하면 병원에 구금되어 속박됨 2)치료 -기계적 속박 -하제 사용 -수갑 -구속 의복 -진정시키는 의자 3)18세기 말 정신병원 입원하면 환자들의 환경이 대중의 관심을 받음->치료방법에 대한 압력 4)정신의학자 (1)윌리엄 튜크 -1732~1822 요크 요양원 설립 -과학적 치료 -철제수갑 사용 안함 -오락, 종교, 다과회도 치료의 한 방법 공공기관에서 정신병자에 대한 인간적 처우의 기준 설정 (2)필립 피넬 -1745~1825 정신병 환자들의 족쇄 제거 명령 -병실 개방 제도(인도적 환자 해방운동) 친절과 이해로 환자 치료 신선한 공개, 햇빛, 깨끗한 환경, 작업.. 2023. 7. 1.
정신간호학 1-2 3. 중세·르네상스 1)배경 로마 멸망 이후 정신의학의 쇠퇴 (1)의료기술 -의사->성직자(교회, 수도원) (2)과학 -종교를 구실로 한 미신에 의해 침체 (3)정신장애에 대한 원시개념(초자연적 힘이나 악령이 원인) 다시 성행 2)치료 (1)환자를 연기에 그을림, 족쇄, 매질, 굶김으로써 마귀 쫒아낸다고 믿음 (2)마법 성행 -정신질환자=마녀->마녀사냥 3)정신병원 (1)스페인 발렌시아에 최초의 정신병원 설립 (2)알사스의 루파에 간질환자를 위한 격리병원 설립 (3)베들렘 요양원(1547년) 런던 베들레헴의 성 마리아 수도원 환자들은 버림받았고, 하등동물보다 더 나쁜 대우 받음 가죽 띠와 쇠사슬에 묶었고 식사도 조금 주었음 경한 환자 -구걸 난폭한 환자 -상류사람들에게 구경시킴 4)정신의학자 (1)파라셀.. 2023. 6. 30.
정신간호학 1-1 1.1 정신건강간호의 발전 과정 1. 원시 1)질병 -도덕규범을 어긴 죄인들에 대한 저주와 처벌 2)치료 -약물 -기계적 절차+주문 -악마를 쫒기 위한 기도 -신의 보호를 요청하는 고백 -귀신 쫒아내기 2. 고대 1)이집트 (1)파피루스 -정신장애는 사악한 영혼에 의해 발생 -노인성 퇴행 -알코올 중독 -우울증 -히스테리에 대한 기술 (2)임호텝 -신부의사 -인간의 죄와 질병 치료를 동시에 해결 2)그리스 / 로마 (1)히포크라테스(B.C 460~370) 질병의 병리 -열, 냉, 건, 습으로 이루어짐 인간의 기질 -다혈질, 담즙질, 우울질, 점액질 정신질환 -광증, 조증, 우울증 알코올성 섬망, 중독증, 산후 정신병 기술 (2)플라톤(플라토, B.C 427~347) 신체와 정신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음.. 2023. 6.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