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동간호학243 아동간호학 1-99 3)담도 폐쇄증(1)정의담관의 선천성 폐색이나 결손 (2)원인-잘 알려지지 않으나 출생 전후 바이러스 감염-담즙흐름의 기능적 장애에서 비롯된다는 주장이 있음 (3)증상1>초기에 나타나는 황달2>회백색 대변3>간종대와 복부 팽만4>후에 비장종대5>지방대사 부전으로 체중 증가 불량6>성장장애7>소양증8>자극에 대한 과민반응9>불편감10>PT, PTT 지연 (4)치료1>외과적 교정-간관이 남아있으면 공장의 분절로부터 대체 담도를 형성하는 문맥 소장 절개술 시행->감염예방합병증 예방-상행성 담관염-문맥성 고혈압-폐고혈압-종양-출혈=>문맥소장절개술이 실패하면 간이식 하여야 함2>내과적 치료-고칼로리 조제유-지용성 비타민 제공-소양증 감소-저염식이-이뇨제 사용-출혈 예방 위해 Ca와 Vik K 투여-고단백, 고탄수.. 2024. 10. 14. 아동간호학 1-98 2)장중첩증(1)정의 및 특징1>장이 다른 장의 한 부분으로 겹쳐 들어간 것-장폐색 유발-24시간 후 감돈 발생2>맹장과 회장에서 흔히 발생3>2세 이하4>남>여5>Cystic fibrosis 및 Celiac disease시 빈번6>예후 좋음7>건강하고 영양상태가 좋은 남아에게 흔히 발생 (2)증상1>주기적이며 극심한 급성 복통-다리를 차거나 복부를 향해 위로 끌어당기는 움직임->복부팽만, 초반의 담즙 섞인 구토(lower GI obstruction)2>RUQ에서 소시지 모양 덩어리 촉진, 간헐적 통증3>복부 촉진 시 우측 하복부가 비어있는 것 같은 느낌4>젤리 모양의 혈액과 점액 섞인 변-장 괴사에 의한 것임5>변은 보통 복통 시작 12시간 후 배출6>Shock 증상-괴사 시 발열-복부팽만-맥박 상승 .. 2024. 10. 13. 아동간호학 1-97 3. 폐쇄성 질환1)비대성 유문 협착증(1)병태생리1>유문 원상 근육 크기 증가2>유문 폐쇄3>강한 연동이 위 근육의 팽창과 비후 유발4>수축된 유문을 통한 위 내용물의 흐름 장애 발생5>구토6>탈수, 대사성 알칼리증 (2)증상-출생 후 2주에서 3개월 이내 사출성 구토-탈수-대사성 알칼리증 (3)증상1>수유 직후 담즙이 섞이지 않은 투사성 구토-Upper GI obstruction2>올리브 크기의 덩어리가 우측 상복부(RUQ)에서 촉진3>수유 동안 좌측에서 우측으로 연동운동 발생4>대사성 알칼리증-HCl 및 K 손실 때문5>수유 후에도 배고픔을 호소하며 보챔6>체중 감소7>탈수 및 농축된 소변8>변비 (4)진단-바륨 연하-전해질 K 저하-전해질 Na 저하-전해질 Cl 저하-전해질 pH 상승-전해질 CO.. 2024. 10. 12. 아동간호학 1-96 2. 설사1)원인(1)감염(2)정서적 불쾌감(3)장 흡수 저하(4)음식 알러지(5)고당·고섬유식이·고지방(6)과식(7)항생제 장기 사용으로 정상 세균총이 파괴된 경우(8)간, 췌장, 갑상선 장애 등(9)중금속 중독-납-수은 등(10)바이러스-주로 로타바이러스(11)박테리아-대장균 2)증상-탈수-전해질 불균형-영양장애-식욕부진-복부 불편감 3)치료(1)심한 탈수와 구토의 경우 비경구적 수액요법-재수화(2)원인에 따른 치료-박테리아성 설사 시 항생제 치료-장 휴식 취함 4)간호중재(1)원인균 판명될 때까지 격리(2)피부 사정-건조한 점막-피부탄력성 저하-대천문 함몰-차고 건조한 피부-창백(3)대사성 산독증 교정(4)탈수 증상 사정-수분·전해질 및 요 비중 모니터-I/O 측정-체중 측정(5)설사 심하면 금식하.. 2024. 10. 11.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6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