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동간호학243 아동간호학 1-111 3. 뇌막염1)원인대부분 바이러스, 홍역, 볼거리, 백혈병 등의 선행 질환에 이차적 속발 2)특징-급성임-세균성 혹은 무균성-아동 사망 초래 가능성 높음 3)병태생리-비인두 등의 신체 다른 부위가 감염되어 병원균이 혈관 주위를 침범하고 뇌척수액으로 들어가 지주막하 공간을 통해 퍼짐 4)증상(1)영아 및 어린 아동(~2세)-발열-구토-기면-졸음-목의 경직-경련-약한 울움 or 종종 고음의 울음-무호흡-청색증-불안-설사-천문의 팽창(후기 증상) (2)3세 이상 환아-발열-구토-혼수-두통-목의 경직-경련-Kerning 징후 양성-Brudzinski 징후 양성-오한-불안 5)합병증-청력 상실-시력 상실-안면과 목 근육의 허약 혹은 마비 6)진단(1)요추 천자1>뇌척수액-탁하고 압력 상승-백혈구 상승-호중구 상승.. 2024. 10. 26. 아동간호학 1-110 2. 간질1)원인(1)급성 발작-두부손상-전해질 불균형-뇌수막염(2)만성, 반복적 발작-분만 시 손상-주산기 가사-선천성 대사이상-감염-유전성 질환 2)부분 발작-국소적으로 시작 (1)단순 부분 발작1>의식변화 없음2>신체의 한 부분에 제한된 운동증상이 나타남3>시각, 후각, 청각 등 감각 증상이 동반4>발작이 다른 신체부위로 진행 (2)복합 부분 발작1>측두엽, 정신운동 발작, 발작 시 의식장애 있음2>1분 이상 발작 후 졸음, 인식장애(데자뷰, 낯선 느낌), 감정 장애(공포, 분노 등)3>발작 후 자동증이 나타남4>입맛을 다시거나 방안을 돌아다니는 등 목적 없는 행동 3)전신 발작-양쪽 대뇌반구에 대칭적으로 퍼짐, 의식장애 동반 (1)소발작1>전조 없이 의식만 잠깐 소실된 상태에서 비경련성 발작2>멍.. 2024. 10. 25. 아동간호학 1-109 4.6 비뇨기계 질환1. 서혜부 탈장1)병태생리(1)출생 후 없어져야 할 초상돌기가 그대로 남음(2)복막의 관이 닫히지 않음(3)복막강 속의 소장이 음낭으로 탈출되어 내려옴 2)호발-남>여-미숙아-하복부나 골반에 선천성 기형을 가진 신생아 3)진단-새끼손가락을 서혜관 내로 넣고 복압 상승을 유도하여 내용물이 닿는지 확인->발살바 수기법 4)증상-탈장된 낭이 비어 있을 때에는 신체 증상 없음-영아 휴식 시에는 없으나 울거나 기침 시에는 복압이 증가하여 촉진이 쉬움-부드러운 압박을 가하면 크기가 감소-울거나 웃을 때 서혜관 속 복강내용물 돌출-서혜관 내에 덩어리가 있으나 눌러도 통증은 없음 5)치료감돈(정복될 수 없는 탈장) 예방 위해 즉시 선택적 외과적 복구 6)간호중재-탈장 주위 부종 및 염증 간호-복압.. 2024. 10. 24. 아동간호학 1-108 3. 아토피성 피부염1)정의특정 항원에 대한 영아의 알레르기 반응으로 심한 소양증을 동반한는 피부 질환 2)원인(1)유전 소인(2)피부기능이상-발한장애-반응이상-면역학적 이상-병원균 감염(3)이종단백질 조기 섭취 3)특징(1)생후 2개월 이후 발현(2)모유 수유아에게서는 잘 안타나남(3)겨울에 주로 나타남(4)과영양아에게서 잘 발생 4)진단-홍반성 부종-소양감-알레르기에 대한 가족력-혈청 내 lgE 농도 상승 5)증상-우유, 밀, 주스 등에 알레르기 반응-홍반-부종-구진-수포-가피-지속적이고 심한 가려움증(소양증)-피부 벗겨짐 6)합병증-긁으면서 이차 감염 7)간호중재(1)Wet dressing 으로 염증 완화(2)구진성 수포가 많을 경우 수용성 전분과 증조로 목욕(3)뜨거운 물은 소양증을 증가시키므로 .. 2024. 10. 23.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6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