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당뇨6

아동간호학 요약 1-30 2. 조절 장애1)당뇨병 증상치료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갑자기 시작되며 시작연령이 20세 이하-비만증과 관계가 없음-당뇨성 케톤산증이 빈발-식이요법만으로 충분하지 않고 인슐린이 반드시 필요-혈당저하제 복용하지 않음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성)-서서히 시작되며 40세 이상에서 발현-비만증과 관계 있음-케톤산증이 드묾-인슐린은 1/3 정도에서만 필요함-1/3에서는 식이요법만으로 조절 가능-혈당저하제가 도움이 됨  (1)병태생리1>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췌장의 바이러스 감염β세포 파괴인슐린 결핍혈당 증가-인슐린의 절대량 결핍2>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인슐린의 분비 장애와 말초조직의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혈당 증가-인슐린의 상대적 결핍 (2)간호중재1>식이 및 운동 조절2>인슐린 투약-활동량과 사춘기에 따라 양을.. 2025. 3. 5.
아동간호학 1-180 7)당뇨병 주의(1)저혈당 응급치료1>식이섭취와 인슐린 및 운동의 불균형에서 초래됨2>저혈당 증상-발한-창백-혼수3>의식이 있으면 초콜릿, 사탕과 같은 단당류와 단백질의 혼합음식 제공4>의식이 없으면 Glucagon, Glucose 투여 (2)고혈당1>질병이나 성장 또는 정서적 혼란에 의해 초래됨-인슐린 투여 부족(과식)-질병(급성 감염)-스트레스(사춘기 여아는 월경 시)2>고혈당 증상-다뇨-다식-피부 건조-흐릿한 시력-배고픔-허약-약하고 느린 맥박-호흡 시 과일 냄새-빠른 호흡-혼돈-무의식3>혈당을 잘 감시하여 인슐린이나 음식의 섭취로부터 관리할 수 있음-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므로 발견 즉시 인슐린의 투여량을 늘려줌 (3)당뇨성 케톤산증1>인슐린 및 전해질 공급 등의 관리가 필요한 상태-인슐린의 부족으.. 2025. 1. 3.
성인간호학 2-247 (3)운동 운동의 효과 ·인슐린의 신체요구도 감소 ·인슐린 저항 감소 ·근육세포의 활성화로 포도당의 흡수 증가 ·인슐린의 조직 민감성 증진 ·체중 감량, 심혈관상태의 개선 심한 운동을 피하고 규칙적으로 시행, 활동량에 따라 음식 섭취 조절 운동 시작하기 1~3시간 전 식사 발에 감각이 없는 환자는 달리기와 조깅 피하고 수영과 자전거타기 선택, 걷기에 좋은 신발 선택(유산소 운동) 증식성 망막증 -발살바 수기와 연관되는 운동이나 두부 충격 피하기 고혈압 -발살바 수기와 연관되는 운동이나 몸통과 팔의 강도 높은 운동 피하기 심한 더위나 추위에서 운동 피함 저혈당 예방 -인슐린 효과 최고일 때 피함 -쉽게 흡수되는 사탕이나 과자 지참 (4)발관리 ->신경, 허혈, 패혈증으로 발의 문제 호발(말초신경증, 발궤양.. 2023. 5. 21.
성인간호학 2-246 인슐린 주사 방법 ·보관 : 냉장 또는 실온 ·투여 시 미리 꺼내 실내온도로 하며, 잘 섞이도록 양 손바닥 사이에서 굴리기 ·라벨에 있는 농도 확인 ·인슐린을 섞을 경우 중간작용형 혹은 속효성 인슐린->지속형 인슐린 순서 (환자 스스로 할 경우 “맑은 것에서 탁한 것”이라고 설명) ·주사부위는 각각 매 4주마다 1회 이상 맞지 않도록 인슐린 주사 부위를 회전시켜 피하 주사(복부, 팔, 허벅지 앞쪽) ·부위 간 최소 1inch(2.5cm) 떨어진 자리에 주사, 배꼽 가까이 하지 않음 ·보통 45°, 90° 각도로 주사(장내에서 비활성화되므로 구강투여하지 않음) ·주사 후 비비지 않고 눌러주기 인슐린 투여 시 주의사항 ·인슐린 과민성 : 주사 부위 가렵고 화끈거림, 경결, 홍반, 알레르기 반응 ·주사부위 지.. 2023. 5.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