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간호중재
(1)치료약물 : 칵테일 약물요법(바이러스 증식 억제 목적)
-Nonnucleoside 역전사 효소 억제제
-Nucleoside 역전사 효소 억제제 : Zidovudine(AZT)
-Nucleotide 역전사 효소 억제제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세포 내 침입 엑제제
(2)감염 예방
-피부통합성, 호흡기, 소화기 상태의 세심한 평가와 신체사정 필요
-건조한 피부는 로션 사용
-주사바늘 사용 후 캡을 다시 끼우지 않음(찔림 예방)
-성관계 시 콘돔 사용하도록 교육
-주사바늘, 면도기, 칫솔 따로 사용
-단순한 피부접촉, 가벼운 키스, 포옹은 감염위험 없음
-호중구수가 500개 이하인 환자 : 엄격한 무균술
-피임 권유(주산기 전파율 25%, 약물 치료시 2%)
(3)영양상태 증진
-식욕부진, 오심, 구내염, 연하곤란 등의 원인 사정 및 섭취 개선을 위한 적절한 전략의 개발
-고열량, 고단백 식이를 자주 제공
-식전의 구강간호, 다른 사람과 식사하는 것, 즐거운 환경을 만들기 등 음식 섭취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격려함
-장관염 있는 경우에는 장의 휴식 위해 구강섭취 제한
(4)의사소통 증진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줌
-여러 분야의 자원을 이용함
(5)피로 감소
-충분한 야간 수면을 취하도록 함
-대상자의 활동에너지를 보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
(6)두려움 감소
-두려움을 확인하고 두려움을 다루는 환자의 방법을 사정함
-지지그룹을 이용하도록 격려
(7)사회적 상호작용 유지
10. 과민반응(알레르기 반응)
이전에 노출된 항원(알레르기원)에 대한 과다한 반응 하는 것
1)관련요인
(1)항원(알레르기원)에 대한 지나친 면역반응
(2)발생과 강도
-숙주의 방어력
-항원의 본질과 농도
-인체 침입경로
-항원 노출
->위의 조건에 따라 반응도 달라짐
2)알레르기원
과민반응을 나타내게 하는 물질
(1)흡인성 : 꽃가루, 먼지, 동물 비듬, 진균 등
(2)섭취성 : 음식(달걀, 우유, 견과류, 땅콩, 갑각류, 생선 등), 식품 첨가물
(3)접촉성 : 비누, 나무, 꽃가루, 라텍스 등
(4)주사약물 : 이물혈청, 약물(항생제, 마취제, 항암제 등), 벌독
(5)감염원이나 박테리아
(6)자가알레르기원 : 체내에 존재
(7)기타 : 스트레스, 공기, 연기, 운동 등
'성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간호학 1-15 (0) | 2022.04.29 |
---|---|
성인간호학 1-14 (0) | 2022.04.28 |
성인간호학 1-12 (0) | 2022.04.26 |
성인간호학 1-11 (0) | 2022.04.25 |
성인간호학 1-10 (0) | 2022.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