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지역사회 간호 문제의 우선순위 설정
보건의료서비스의 우선순위 결정은 ‘부족한 보건의료자원 배분 기준’을 마련하는 것, 객관적인 기준과 공정한 방법 및 절차를 따라야 하며 의료비용을 형평성 있게 배분하되 최소의 지출에서 최대의 편익을 얻으려는 데 목적이 있음
1)우선순위 결정 기준
(1)Stanhope & Lancaster 기준
1>지역사회 건강문제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인식 정도
2>건강문제를 해결하려는 지역사회의 동기수준
3>건강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의 능력
4>건강문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전문가의 유용성
5>건강문제 해결이 안 될 때 후속적으로 생길 결과의 심각성
6>건강문제 해결에 걸리는 시간
(2)문제의 크기, 중요성, 이용할 수 있는 자원동원 가능성에 따른 기준
1>문제 크기와 중요성
<1>지역사회 전체 또는 많은 수의 지역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
-전염병, 집단사고 등
->1순위로 중요함
<2>영유아 사망원인이 되는 문제
<3>모성 건강에 영향을 주는 문제
-분만으로 인한 합병증
-산후 출혈
-유산
<4>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기에 영향을 주는 문제
-영양
-식습관
-사고
-비만
<5>만성질환, 장애
-고혈압
-당뇨
-소아마비
<6>지역사회 개발에 영향을 주는 문제
2>자원 동원가능성
<1>주민이나 보건관련 요원들의 인적 자원
<2>건물
<3>시설
<4>도구
<5>물품
<6>비품
<7>사회적 지원
<8>정책
<9>재정 문제
<10>활용 가능한 시간
(3)BPRS(Basic Priority Rating System) 기준
-Hanlon & Pickett가 개발
1>공식
-BPRS=(A+2B) X C
=A : 문제의 크기
=B : 문제의 심각도
=C : 사업의 추정 효과
2>특징
점수가 계량화되어 객관적으로 보이지만, 문제의 심각성이나 사업효과에 기획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점수 부여가 객관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음
2)우선순위 결정 시 유의사항
(1)비교대상 건강문제 선정
(2)우선순위 판단 기준
(3)평가기준별 점수 부여
(4)의사결정의 공정성과 전문성
(5)투입가능 한 자원을 고려한 사업 대상 건강문제의 제한
'지역사회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1-37 (0) | 2025.04.15 |
---|---|
지역사회간호학 1-36 (0) | 2025.04.14 |
지역사회간호학 1-34 (0) | 2025.04.12 |
지역사회간호학 1-33 (0) | 2025.04.11 |
지역사회간호학 1-32 (0) | 2025.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