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1-33

by leemy 2025. 4. 11.
728x90
반응형

2. 지역사회 간호사업의 기준 및 지침 확인

지역사회 간호사가 그와 담당 지역, 조직, 집단과 관련되는 각족 법령이나 규칙, 기준 등을 확인

 

1)고려 사항

(1)간호사업과 관련된 전체 보건사업의 목표와 수준

(2)관련 법규, 규정, 기준, 업무 지침

(3)관련 사업의 예산 범위와 사업 기간

(4)해당 사업과 관련된 부서와 타 전문직 활동 범위

 

2)지역사회간호사가 확인해야 할 내용

(1)보건진료원

-지역사회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간호 및 치료기능의 범위와 깊이를 파악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처치와 약물의 종류 및 범위를 확인

 

(2)보건교사

-학교보건 관리기준을 확인

 

(3)산업간호사

-산업안전보건법, 동 시행령 및 시행규칙, 산업체내 각종업무지침 및 기준 확인

 

(4)보건소 건강증진실 간호사

-건강증진관계 법령, 보건소 업무지침,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사업 지침, 지역 요구 재조사를 확인

 

3. 간호 진단

간호사의 역할 범위와 깊이를 파악한 후 지역사회 문제를 도출하고 지역사회문제 중 지역사회 간호 사업으로 범위를 가져올 수 있는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간호진단을 내림

 

1)지역사회 간호진단에 활용되는 분류체계 도구

(1)NANDA 간호진단

-북미간호진단분류체계

1>임상에서 환자관리를 위해 개별 간호대상자의 문제를 파악할 때 주로 활용

2>건강증진과 안녕 등 긍정적인 건강에 대한 강조가 부족하여 가족이나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문제 목록은 제한적

Ex, 비효과적 지역사회 대응, 지역사회 대응 향상 가능성, 비효과적 가족치료법 관리

 

(3)OMAHA 간호진단

-오마하 분류체계

1>오마하 방문간호사협회가 1975년부터 1993년에 걸쳐 20년간 공동으로 개발한 것

2>지역사회 보건 간호 실무영역에서 가장 유용하게 적용 가능

3>문제 분류 체계

-대상자 문제나 간호진단 목록

<1>영역

-환경영역

-정신사회영역

-생리적영역

-건강관련행위영역

->영역별 문제, 진단명, 증상, 징후의 4가지 수준으로 구분

4>중재체계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서술할 수 있게 하는 간호활동 목록

5>결과에 대한 문제 측정 척도

-간호진단과 관련된 대상자의 경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도구

 

728x90
반응형

'지역사회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1-35  (0) 2025.04.13
지역사회간호학 1-34  (0) 2025.04.12
지역사회간호학 1-32  (0) 2025.04.10
지역사회간호학 1-31  (0) 2025.04.09
지역사회간호학 1-30  (0) 2025.04.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