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2 지역사회 간호진단
지역사회 진단이란 지역사회의 보건 문제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의식적인 활동이며 이에 기초하여 보건 사업의 계획과 활동내용을 구성하는 과정이다.
즉 지역사회 진단이란, 건강문제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의 총체적 파악이며 사정 단계에서 도출된 건강문제 중 지역사회 간호사는 그가 담당하고 있는 지역사회와 관련된 각종 법규, 규정, 기준, 업무분담표 등을 기초로 하여 지역사회 간호문제를 확정한다.
1. 자료 분석
분류 | -수집된 정보를 서로 연관 있는 것끼리 특성별로 범주화 -분류 방법은 자료 수집 개념 틀과 경험에 따라 다름 Ex, 지역사회의 특징, 인구 특성, 건강상태, 환경 특성, 지역사회 자원 등 |
요약 | -분류된 자료를 차트, 표, 그림, 그래프, 지도 등으로 작성하여 요약 -지역사회의 전반적 분위기, 역사적 배경 및 지리적 특성을 요약 서술 Ex, 지도에 표시(위치, 가구, 지역사회, 자원의 분포), 자료의 특성에 의한 비율 계산 |
비교 및 확인 | -다른 지역, 전국 규모자료, 과거자료와 비교하여 부족하거나 필요한 부분 확인 -규명된 자료간의 불일치, 누락 자료, 자료간 차이 고려 -지역주민의 견해나 동료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도 도움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지역사회의 문제를 평가하기 위한 단계 |
결론 및 추론 | -수집된 자료의 의미를 찾는 단계 -지역사회의 건강 요구 및 구체적 문제를 찾아 결론 내림 -간호문제는 지역사회 문제 중 잠재적이거나 실제적인 건강문제로 지역사회 간호 사업을 통해 변화가능 한 문제 |
728x90
반응형
'지역사회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1-34 (0) | 2025.04.12 |
---|---|
지역사회간호학 1-33 (0) | 2025.04.11 |
지역사회간호학 1-31 (0) | 2025.04.09 |
지역사회간호학 1-30 (0) | 2025.04.08 |
지역사회간호학 1-29 (0) | 2025.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