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지역사회 간호계획
지역사회 간호진단에서 확인된 간호문제에 따라 해결전략을 개발하는 단계
*간호계획의 목적
1.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정
2. 목표가 분명하여 간호사업의 목표 달성이 용이
3. 대상자들에게 간호 사업에 대한 협조를 구하기 쉬움
4. 다른 전문요원들과의 사업 중복을 피하고 협조를 얻을 수 있음
5. 간호사업 수행 중 목적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 평가가 용이
1. 목표 설정
1)목적과 목표
(1)목적
-실현하려는 의도가 강조된 추상적인 표현
(2)목표
-의도했던 일이나 사업의 성취결과가 강조되는 명확하고 구체화된 표현
(3)보통 목적과 목표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는 경향
(4)상위목표
-하위목표가 작용한 결과, 하위목표를 포괄함
(5)하위목표
-상위목표를 달성을 위한 수단적 표현, 상위목표에 대해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계량화 가능한 행동용어로 기술
2)목표의 구분
(1)투입-산출 모형에 따른 목표 분류
1>투입
-사업 기반 조성에 관한 지표
-사업 관계자가 사업에 투입하는 인력, 시간, 돈, 장비, 시설 등의 자원
2>산출
-사업의 결과 나타나는 활동, 서비스, 이벤트, 생산물 등
Ex, 사업건수, 교육건수, 이용건수 등
3>결과
-사업의 결과로 나타나는 건강수준
-건강결정 요인의 변화
Ex, 사망률 저하, 행동의 변화, 평균 수명 연장, 삶의 질 변화
(2)인과 관계에 따른 목표 분류
1>과정 목표
-산출(활동)의 양적 수준과 투입 및 산출의 적절성
2>영향 목표
-건강 결정요인과 기여요인의 변화
3>결과 목표
-건강수준의 변화
-사망률, 유병률, 장애 등
(3)목표 달성의 시간에 따른 분류
1>단기 변화
-2~3개월에서 2년 이내의 결과 변화
Ex, 정책에 대한지지 변화, 지식, 태도, 믿음의 변화
2>중기 변화
-서비스 이용의 변화 정도
-행동의 변화
3>장기 변화
-목표 달성에 5~10년이 소요되는 목표
-보건사업의 최종 목표를 달성
Ex, 사망, 상병 등의 건강상태 변화
'지역사회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1-38 (1) | 2025.04.16 |
---|---|
지역사회간호학 1-37 (0) | 2025.04.15 |
지역사회간호학 1-35 (0) | 2025.04.13 |
지역사회간호학 1-34 (0) | 2025.04.12 |
지역사회간호학 1-33 (0) | 2025.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