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1-149

by leemy 2024. 12. 3.
728x90
반응형

4)발작 종류

(1)부분 발작

-국소적 시작

1>단순 부분 발작

-의식 변화 없음

-심하게 지속되면 사지 허약이나 마비 발생

<1>토드 마비

-단순 부분발작이 심하고 오래 지속되면 발작 부위에 일시적으로 허약감과 마비가 오는 증상

<2>잭슨 마비

-발작이 주위의 운동피질로 퍼져 신체의 다른 부위로 진행되는 것

2>복잡 부분 발작

-발작 시 의식 장애 있음

-전조증상(불안, 어지럼증, 갈증)

3>다양한 정신장애나 감성장애 동반

4>1분 이상의 발작

5>자동증으로 자신의 행동 기억하지 못함

(2)전신 발작

-즉시 의식장애 나타남

1>소발작

-주로 5~10세 아동에게서 빈발

-전조 없이 의식이 잠깐 소실됨

-자동증 혹은 경한 간대성 강직 발작요소 포함

-멍한 표정

-무반응

-행동중단

-10~20초 지속

-처음에 발견 어려움

2>전신성 강직-간대성 발작

-전형적 경련성 발작

-의식 잃고 쓰러짐

-심한 거품

-고함지름

-강직성 근수축 이후 사지의 굴곡

-발작 시 빈맥, 발한 홍조, 고혈압, 청색증 등이 나타남

-1~3분간 발작 지속, 이후에 자다가 깨어남

 

5)발작 진단

(1)가족 병력

(2)아동 병력

(3)신경학적 검진

(4)신체 검진

(5)2회 이상의 발작 병력

(6)혈액 검사

(7)뇌전도

(8)뇌단층 촬영

 

6)간호중재

(1)발작 억제 약물 투약

(2)항경련제 투여 교육

-지시된 시간에 맞게 정확히 투여

(3)발작 시 응급처치 교육

-발작 시 아동을 눕히고 부드러운 것으로 머리 밑을 받쳐줌

-꽉 끼는 옷을 느슨하게 풀어주고 주위 환경으로부터 위험한 물건을 치움

-발작 시 안전한 환경만을 제공한 채 아동을 그대로 두며, 억제를 하거나 누르면 절대 안됨

-발작이 끝난 후 타액 배출이 용이하도록 고개를 한쪽으로 돌려줌

-의식이 완전히 돌아올 때까지 혼자 두지 않도록 함

-사고 예방을 위해 침대 난간을 올려줌

(4)발작 후 호흡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을 경우 인공소생술

(5)발작시간, 지속시간, 발작 양상을 관찰하여 정확히 기록

(6)정서적 지지

-위축감, 공격성 증가 위험이 큼

 

7)예방

(1)무엇보다 뇌의 손상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함

(2)신생아기 때 대사 장애를 조기 발견하여 치료

728x90
반응형

'아동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1-152  (0) 2024.12.06
아동간호학 1-150  (1) 2024.12.04
아동간호학 1-148  (1) 2024.12.02
아동간호학 1-147  (2) 2024.12.01
아동간호학 1-146  (1) 2024.11.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