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패혈증5

아동간호학 1-101 2)선천성 거대결장(히르슈슈프룽병)(1)정의1>원위부 결장과 직장의 부교감 신경절의 부재로 인한 불충분한 연동운동으로 기계적인 장폐색을 초래하는 선천성 장애2>남아>여아(4배)3>다운증후군에 호발 (2)병태생리1>결장분절의 부교감 신경절 부재로 연동운동 없음2>대변이 신경절 세포가 없는 장의 상부, 근위부 결장에 축적되어 장 정체됨3>장의 이완 및 과증식4>거대결장5>장의 하부는 연동운동이 전달되지 않아 장폐색이 초래됨 (3)증상1>태변 배출 지연2>만성적 변비3>복부 팽만4>담즙성 구토5>무기력6>식욕부진7>리본 모양의 악취나는 변8>발열9>체중증가 없음10>대변덩어리가 LLQ에서 촉진됨11>직장 검진 시 직장은 비어있음12>장천공 및 패혈증 동반 (4)진단-직장 내압 검사-단순 복부 촬영-바륨 관장-.. 2024. 10. 16.
아동간호학 1-81 3. 신생아 패혈증1)원인(1)연쇄상구균, 대장균, 포도상구균(2)미숙아에게 흔함-만삭아가 재태 기간 후반기에 어머니로부터 받는 면역물질인 lgG를 전달받지 못해 미숙아는 적은 양의 lgG만 갇게 됨(3)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하는 IgA와 그람음성균에 대항하는 IgM의 함유량도 낮아 병원균에 쉽게 감염됨(4)특발성/비특발성 면역결핍이 주원인 2)증상(1)일반적으로 애매하고 비특이적인 증상-병원체에 대한 영아의 반응 저조(2)신체적 증상을 자각하지 못하는 것이 보통이며 주 양육자의 “뭔가 잘못되었다”는 느낌(3)젖을 빨지 않음(4)발열 혹은 저체온(5)호흡곤란(6)창백(7)차고 끈적한 피부(8)복부팽만(9)식욕부진(10)구토(11)활동 감소(12)반사저하(13)보챔(14)황달 3)검사소견(1)감염의 증거1>.. 2024. 9. 25.
아동간호학 1-75 4)수두증 수술 전 간호(1)침대 머리를 상승하여 뇌압상승 방지-30° 정도 상승(2)수액요법 시 신체 수액 요구량의 75~80% 넘지 않도록 함(3)욕창과 위축 방지(4)눈을 감지 못하면 각막 궤양 및 감염을 초래하므로, 젖은 생리식염수 거즈 적용함(5)두부와 경부 오염 방지(6)외부 자극 최소화(7)적절한 영양 공급-반좌위 취함-소량씩 자주 공급-식후 트림시킴 5)수술 후 간호(1)환아 상태 관찰과 지지적 간호 제공1>활력징후 측정2>체온 유지3>흡인4>체위 변경5>수술 후 24시간 동안은 머리를 상승시키지 않도록 베개 없이 편평하게 유지하도록 함6>복부팽만 시 비위관 삽입7>구강 간호8>창백증9>피부반점10>신체 냉감 및 의식 수준 관찰 (2)다량의 뇌척수액 배액1>천문의 팽창 및 딱딱함을 관찰2>.. 2024. 9. 19.
성인간호학 2-30 2)복막염 내장을 덮고 있는 복막 염증 (1)원인 -복부 장기 질환의 합병증으로 많이 발생 -복강 내 장기 염증, 파열, 천공으로 인한 박테리아 감염 -외상, 외과적 상해, 복강 외 장기(신장)의 감염 -충수돌기염, 게실염, 천공성 궤양, 장 천공이 주요 원인 -원인은 다른 질병으로 인한 2차적 결과이므로 원인 질환 치료가 곧 예방임 (2)병태생리 -장의 염증성 반응->혈액이 장의 염증부위로 몰림->장의 연동운동 중지, 수분과 공기가 내강에 남게 됨, 장 내강 압력 증가, 장 내로 수분 분비 증가->복통, 복압 상승->순환 혈액량 감소->호흡곤란->염증 과정으로 인해 산소 요구량 증가 (3)증상 복통 -반동 압통 -병변 부위 반동 압통이 심하고 근육이 경직됨, 경련 복부팽만과 마비성 장폐색(초기) : 장.. 2022. 10.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