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근육7

성인간호학 2-149 5)골다공증 치료 및 간호중재 (1)예방이 우선 (2)진행 후에는 더 이상 진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 (3)골절 예방 (4)약물 치료 구강으로 소량의 에스트로겐 투여 -골밀도 감소 -골파괴 저하 칼슘, Vit D 투여 칼시토닌 : 골파괴 억제 Biphosphonates : 골파괴 억제 ·Alendronate(Fosamax) -아침에 다량의 물과 복용 -1시간 이상 앉아있도록 함 -식도염 유발 Raloxifene(Evista)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 (4)통증 -국소적으로 열적용 -진통제 (5)식이요법 -적당량의 단백질, 마그네슘, 칼슘, Vit D 섭취 권장 칼슘 섭취 권장량 -1500mg/일 이상(골다공증 시) 칼슘 함유 음식 -뼈 그대로 먹는 생선 -멸치 -뱅어포 -고기 -정어리 -우유, 달걀.. 2023. 2. 12.
성인간호학 2-143 3.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 TKA) 1)수술 후 간호 (1)체위 -처음 48시간 동안 정맥 순환 촉진 위해 수술 받은 다리 거상, 이때 무릎을 굴곡시키지 않도록 주의 -측위, 앙와위 번갈아가며 변경 가능 (2)상처 간호 -수술 부위 출혈 확인 -수술 부위 배액관 분비물 확인 -큰 압박 드레싱 있을 때 배액을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혈액 상실 증상(저혈압, 빈맥 등) 있는지 사정 -수술 2일 후 능동적 굴곡운동을 하기 전에 드레싱 제거 (3)운동 -지속적 수동운동 기계(CPM) : 가능한 오래 적용, 점차 각도 늘려 퇴원 시 약 100~120° 정도 구부릴 수 있도록 함 -수술 후 첫째 날 보조기구 이용한 가벼운 체중부하 시작, 견딜 수 있는 만큼 증가 -수술 후 약.. 2023. 2. 6.
성인간호학 2-139 5. 절단 1)정의 환자의 생명과 안위를 위하여 신체의 일부를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2)원인 (1)말초혈관질환 -원인 중 70% -노인의 동맥경화증 -당뇨병 합병증 (2)외상, 감염, 종양, 신경손상, 선천성 기형 3)절단 방법 (1)개방성 절단 -환부를 단면으로 절단하는 것 -주로 감염이 심할 때 적용 -환부 상처 치유 후 절단부를 봉하기 위한 재수술 (2)폐쇄성 절단 -절단부를 피부로 봉합하는 방법 -감염의 위험 없을 때 시행 4)하지절단 대상자 간호 (1)관절구축 예방이 최우선 관절 구축을 유발하는 자세 -절단부를 외전 시키는 것 -둔부나, 슬부 아래에 베개를 놓는 것 -침대에 절단부를 걸쳐 놓는 것 -절단부를 내려놓은 채 휠체어에 앉는 것 -대퇴 사이에 베개를 놓는 것 -척추를 구부리는 것 -무.. 2023. 2. 2.
성인간호학 2-130 (2)구획증후군 정의 -구획 : 심부의 근막이나 뼈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나 하나 또는 여러개의 근육 다발을 포함하는 폐쇄된 해부학적 공간 -한정된 근막구획 내 간질액 압력 증가로 공간 내 조직의 신경·혈관의 손상 원인 -외부압력 : 체위, 억제성 드레싱, 압박 드레싱, 조이는 석고붕대, 부목, 외과적 지혈대 -구획의 크기 감소 : 화상시의 가피, 지나친 견인, 손상된 근막이 닫힘 -출혈 : 혈관손상, 응고장애 -부종, 정맥주사 침윤으로 인한 구획의 내용 증가 증상 -진통제로 조절되지 않는 극심한, 터질듯한 통증 -근육 긴장, 부종, 압통, 후기에 맥박 촉지 되지 않음 -국소빈혈이 발생한 후 6시간 경과 시 근육과 신경에 치명적 손상 시작, 24~48시간 후에는 회복 불과능, 허혈성 근육조직이 섬유성 조직.. 2023. 1.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