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1-129

by leemy 2024. 11. 13.
728x90
반응형

5.6 신경·근육계 장애

뇌성마비

1)정의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수의근의 힘이나 조절이 결핍됨

 

2)특징

-비진행성 장애, 아동기에 가장 흔한 영구적 신체 불구

-지각문제, 언어 결핍

-지능문제가 동반될 수 있음

-비정상적인 근육강도와 조절이 특징임

 

3)원인

(1)저산소증

-가장 중요한 원인

(2)허혈, 손상, 출혈, 선천성 기형, 모체 약물 중독, 지속적 폐고혈압, 학대, 핵황달

(3)임신 중 모성의 풍진감염, 분만 중 외상 혹은 저체중아, 두부 손상의 합병증, 출생 후 감염

 

4)증상

(1)지적 발달 장애

1>가장 흔하게 볼 수 있음

2>집중력 결핍, 충동성, 좌절, 예측할 수 없는 행동, 사회적 미성숙

3>지능이 낮은 경우도 있으나 지능이 정상임에도 지적으로 지연된 것처럼 보이기도 함

4>과잉보호 시 지적 능력을 감소시킴

 

신체적 증상 행동적 증상
-3개월 이후 목을 가누지 못함
-팔다리가 뻣뻣함
-몸을 뒤로 젖히거나 밀어냄
-축 늘어진 자세
-8개월까지 지지해주지 않으면 혼자서 앉지 못함
-신체의 한 부분만을 사용하거나, 기어갈 때 팔만 사용함
-자주 보채고 우는 특성
-3개월까지는 미소를 짓지 못함
-수유 곤란
->지속적으로 기침하거나 역류
-6개월 이후 영아는 음식을 혀로 밀어냄
->정상적으로 6개월 때 밀어내기 반사 소실

 

 

(2)경련

-환아의 50%에서 발생

-전신적 긴장성-간대성 경련이 많음

-대뇌 피질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두 번 이상 발생 시에는 항경련제 요법 필요함

-EKG는 비정상

 

(3)성장지연

-단신

-체중이 가벼움

-피부, 근육, 골격에 국한된 성장 제한

 

(4)감각장애

발보다 손에서 강하게 나타남

728x90
반응형

'아동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1-155  (2) 2024.11.14
아동간호학 1-151  (1) 2024.11.14
아동간호학 1-128  (1) 2024.11.12
아동간호학 1-127  (0) 2024.11.11
아동간호학 1-126  (1) 2024.11.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