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요로감염
1)정의
요도, 방광 등 요로의 하부기관과 신우, 신실질 등 신장부위 상부요로계 감염
2)특징
(1)여아>남아
-해부학적으로 짧은 요도, 항문과 가까운 요도로 세균의 상행이 빠름
(2)2개월~2세까지 호발
-기저귀 차는 시간이 길어서 변에 오염된 요도 통해 감염
(3)빈번한 재발
(4)무증상의 요로감염이 많음
(5)소변의 정체 시 균이 증식하기 좋은 배지가 됨
-완전한 방광배뇨가 중요함
(6)분류
1>상부요로감염
-발열, 오한, 옆구리 통증, 탁한 소변, 불쾌하고 비릿한 냄새의 소변, 구토 등 비뇨기계 증상 이외에 고열 같은 전신 증상이 동반됨
2>하부요로감염
-빈뇨, 배뇨곤란, 배뇨 시 통증
3)원인
(1)E.coli(80%), 그람음성균, Pseudomonas 등
(2)방광의 과도팽창, 꼭 끼는 기저귀나 팬티 착용
(3)점막의 혈액순환 장애
(4)소변의 방광 내 화학적 성분 변화
(5)비뇨기계의 해부학적 기형 등으로 인한 소변의 정체
4)증상
->주요 증상으로 발열, 혈뇨, 빈뇨
연령 | 주요 증상 |
신생아 | 발열 혹은 저체온, 패혈증, 핍뇨, 빈뇨 혹은 무뇨, 이유 없이 늘어지고 보챔, 심한 기저귀 발진, 악취 나는 소변 |
2세 미만 | 성장 지연, 식이 섭취 문제, 구토, 설사, 복부 팽만, 황달 |
2세 이상 | -배뇨 훈련 후 야뇨증, 실금, 발열, 악취 나는 소변, 빈뇨, 배뇨곤란, 긴박뇨 -복부나 옆구리 통증, 소변 줄기 압력 약함, 백혈구 증가 시 사구체신염 의미 |
5)진단
소변배양검사에서 세균 확인함
6)치료
Penicillin, Sulfonamide, Tetracycline 등의 항생제 사용
7)간호중재
(1)항생제 투여
(2)배뇨현상 관찰, 기저귀 자주 갈아주고 면 팬티 권장
(3)소변을 참지 않도록 하며, 소변을 볼 때 천천히 방광을 비우도록 교육함
(4)통목욕보다는 샤워를 권장
(5)거품목욕 금지
-요도 자극하여 통증과 빈뇨를 야기
(6)여아 회음부 위생교육
-앞에서 뒤로 닦도록 교육
(7)충분한 수분 섭취
(8)추후 계속적 관리로 재발을 예방
'아동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간호학 1-125 (0) | 2024.11.09 |
---|---|
아동간호학 1-124 (1) | 2024.11.08 |
아동간호학 1-122 (0) | 2024.11.06 |
아동간호학 1-121 (0) | 2024.11.05 |
아동간호학 1-120 (0) | 2024.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