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MAOI3

정신간호학 1-167 3)SSRI -선택적으로 세로토닌의 재흡수 차단 -노르에피네프린은 거의 차단하지 않음 -Fluoxetine(Prozac) -Sertraline(Zoloft) -Paroxetine(Paxil) (1)적응증 1>주요 우울장애 2>강박장애 3>식사장애 4>공황장애 5>일부 인격장애의 공격성 조절 6>일부 통증장애 7>월경 전 불쾌감 조절 (2)부작용 1>항콜린성 부작용 및 기립성 저혈압, 심장독성,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 거의 없음 2>위장관계 부작용 -오심 -구토 -설사 -복통 3>중추신경계 부작용 -불안 -초조 -두통 -진전 -발한 4>추체외로계 부작용 -드물지만 TCA보다는 빈도 높음 5>약물 중단 시 금단증상 발생 -불면 -오심 -구토 -초조 -어지럼증 4)MAOI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등.. 2023. 12. 14.
정신간호학 1-127 3. 식사장애 치료 및 간호중재-1 1)상담 (1)영양에 관한 상담 (2)인지-행동 관리 1>대체 -역기능적인 식사행동을 건강한 대안적 행동으로 대체 2>시각화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심상을 통해 행동의 변화를 프로그래밍 하는 방법 -체중 조절 대상자, 스트레스, 불안, 수치감 감소, 통증 치료 및 조절에 효과적 -사고장애, 정서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대상자에게는 부적절 3>계약 -간호사와 대상자가 동일한 일련의 규칙, 강화 및 결과 -금지된 행동과 허용된 행동 목록, 계약 이행에 대한 보상, 강화 포함 4>인지적 재구조화 -비합리적 신념을 탐색하고 좀 더 현실적이며 합리적인 신념으로 대체하는 것 5>정적강화와 부적강화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보상과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한 처벌 포함 6>자기주장훈련 .. 2023. 11. 3.
성인간호학 2-88 (5)파킨슨병 진단 -병력과 임상 양상에 대조 -전형적인 3대증상 진전 강직 운동 완서증 ->이 중 2개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날 때 -MRI -뇌척수액 분석에서 도파민 수준 감소 (6)치료 도파민 치료제 -Levodopa(L-dopa), Levodopa-carbidopa(Sinemet), Bromocriptine(Parlodel) ->혈액-뇌 관문을 통과하는 도파민 전구물질, 뇌 속에서 도파민으로 전환되어 부족한 도파민 보충 -부작용 : 오심, 환각, 운동실조, 심한 체위성 저혈압 -Amantadine : 신경원으로부터 도파민의 분비를 증가시킴 항콜린성 제제 -아세틸콜린의 작용 감소 -진전 완화 항히스타민제 -항콜린성 효과 -진전·강직 완화 MAOI(Momoamine Oxidase Inhibitors).. 2022. 12.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