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지역사회12

지역사회간호학 1-7 4. 지역사회간호 사업1)지역사회 간호사업의 접근 과정(1)사업대상-지역사회 주민 전체 (2)사업내용-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건강한 삶 (3)사업목적-지역사회 주민의 적정기능 수준 향상 (4)사업주체-정부와 민간기관과 그 지역사회->주민 포함 (5)사업장소-지역사회 모든 시설 자원 (6)사업비용-정부의 세금이나 지역사회가 동원한 재원 (7)대상자-지역사회 주민 (8)사업진행-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요구에 따라 이루어짐 (9)사업전달방식-수평식 (10)시설 및 기구-가정-보건소-지역사회 (11)사업상과-쉽게 나타나지 않음  *보건간호 vs 지역사회간호보건간호지역사회간호사업목적총체적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건강증진, 취약계층의 의료이용 접근성 제고지역사회 주민의 적정기능 수준향상-질병예방-건강유지증진-삶의 질 향.. 2025. 3. 16.
지역사회간호학 1-3 2. 지역사회 보건과 공중보건1)지역사회 보건의 정의(1)질병이 없고 오래 사는 것(2)주어진 시·공간에서 이용 가능한 자원을 가지고 높은 수준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안녕상태에 이르는 것(3)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개개인의 주민과 하나의 실체로서의 지역사회를 최적의 생물학적·영적·사회적·정신적 안녕상태로 이끄는 것 2)공중보건의 정의(1)조직된 지역사회의 노력으로 환경위생관리, 전염병관리,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질병의 조기발견과 예방적 치료를 할 수 있는 의료 및 간호사업의 체계화 및 모든 사람들이 자기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적합한 생활수준을 보장하도록 사회적 제도를 발전시킴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과학과 기술(2)모든 사람이 건강할 수 있는 조건.. 2025. 3. 12.
지역사회간호학 1-1 01 개론1.1 지역사회간호의 이해1)지역사회의 정의(1)기능적인 측면1>집단 구성원의 공동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기능과 상호의존성에 의해서 이룩된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집단체계2>개인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곳 (2)지역사회 단체에 초점1>그들의 삶에 어떤 중요한 특징적인 것을 서로 나누며 사는 사람들의 집합체2>가치관이나 공공시설들을 서로 나누어 갖는 사람들의 모임3>일정한 단위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 중 공통적인 생활을 취하고 있는 하나의 사회적 단위4>지리학적 위치, 직업, 인종, 주택상태 등 최소한 한가지 이상의 공통 특성을 공유한 집단 또는 사람들의 모임 (3)WHO(1974) 정의지리적 경계 또는 공동가치와 관심에 의해 구분되는 사회집단으로, 이들은 서로를 알고 상호작용하면서 특정 사회구조.. 2025. 3. 10.
정신간호학 1-46 4. 사례관리특성 1)서비스의 지속성 -장기간에 걸쳐 서비스 제공 -관계 중심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지속적 제공 2)서비스의 포괄성 -개인의 다양한 욕구 충족 -지역사회 기반의 서비스 제공 3)서비스의 연계성 -복잡하고 분리되어 있는 서비스 전달체계 4)서비스의 개별성 -대상자 개개인의 고유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적절한 서비스 제공 5. 사례관리의 과정과 기능 1)환자 발견 및 등록 2)사정 (1)대상자와 가족에 대한 정보 수집 (2)가족이나 대상자가 추구하는 재활목표와 희망사항 사정 (3)지역사회에서 활용 가능한 자원 사정 (4)대상자와 대상자의 환경에 내재하는 장·단점 사정 3)계획 (1)방문목적 정하기 (2)수행할 서비스 내용 정하기 및 우선순위 정하기 (3)방문할 집 위.. 2023. 8.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