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이물질2

지역사회간호학 1-117 3. 학교 건강문제 관리1)신체 검진(1)문진과 함께 정확한 판단을 위해 증상에 따라 시진, 촉진, 청진, 타진 등의 신체 검진 실시(2)전신적인 상태를 사정하고 활력징후 먼저 측정(3)복부 촉진 시는 통증이 없는 곳에서부터 촉진(4)증상에 대한 성상을 확인하며 실시 2)질환이 있는 학생 파악(1)신체사정을 통해 건강 문제 파악(2)문제에 대한 중재 계획에 따라 보건소에서 즉시 실시 도는 의뢰기관 의뢰 3)일반적인 건강문제-2건강문제간호중재발열-안정을 취하며 정확한 체온을 측정한다=>38도 이상 시 열이 있는 것으로 간주함-이마, 겨드랑이 아래, 사타구니를 냉요법 해준다.-춥거나 떨려하면 담뇨를 덮어주고, 끓여서 식힌 물, 보리차 등을 먹여 수분을 보충한다.-열이 지속되면 해열제를 경구 투여한다.식중독-.. 2025. 7. 4.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75 14.1 상처 간호 1. 상처분류 상처분류 종류 설명 원인 치유 시 유의점 피부표면 파열 유무에 따라 개방성 상처 피부나 점막 손상을 입은 상처 외과적 절개나 정맥 천자, 총상과 같은 날카로운 물건에 의한 상처 피부손상으로 인해 감염 위험성 증가 폐쇄성 상처 피부표면은 상하지 않은 상처 강타, 충격 또는 추락이나 공격, 자동차 사고와 같은 외상 연조직의 파괴, 내부 조직의 손상출혈이 있을 수 있음 원인에 따라 의도적 상처 치료나 처방 목적의 상처 외과적 절개, 천자, 정맥요법, 요추천자, 흉부천자, 복부천자 등 무균상태에서 시행되므로 감염의 기회가 최소화되고 치유가 빠름 비의도적 상처 불의의 손상에 의한 상처 사고로 인한 상처 즉, 화상이나 칼에 의한 상처 균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일어나며 감염위험이 높음.. 2022. 3.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