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2-62
(4)뇌간 -위치 : 간뇌와 척수 사이에 있으며 인식과 각성을 조절하는 망상활성계로 구성 구조 기능 중뇌 -몸의 평형(자세) 유지 -동안신경, 활차신경 신경핵 위치 뇌교 -흡식중추, 호흡조절중추 위치(심한 뇌부종으로 인해 뇌교 하부까지 압박 시 무호흡을 보임) -삼차신경, 외전신경, 안면신경, 청신경 신경핵 위치 연수 -뇌와 척수 연결 -생명 유지에 중요한 호흡중추, 심박동 조절중추, 연하중추, 구토중추, 딸꾹질중추, 반사중추 -설인신경, 미주신경, 부신경, 설하신경 신경핵 위치 (5)기저핵 -대뇌 반구의 시상 외측에 위치하는 회백질체 -미상핵(꼬리핵), 피각(조가비핵), 담창구(창백핵), 편도체로 구성 -기능 : 추체외로계의 시발점으로 근육활동을 조절하고 통합, 대뇌피질과 협력하여 수의 운동을 발생시키..
2022. 11. 17.
기본간호학 1 간호의 기본개념-45
6.2 배변 1. 대장의 구조와 기능 1)대장의 구조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 결장, 직장, 항문으로 구성 2)기능 -수분, 요소, 전해질 흡수 -분변 형성, 배출 3)배변 (1)배변반사 -조절 중추 : 연수, 척수 -분변->직장 압력(30~40mmHg) 상승->배변반사 자극->부교감신경 자극->결장의 연동운동 강화, 내항문 괄약근 이완 -자의적인 조절 : 복부 수축, 외항문 괄약근 조절, 발살바 수기(심호흡 후 입과 콧구멍을 막고 숨을 내뱉으로고 할 때 배에 힘 주는 것) (2)배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노인은 연동운동이 감소되고, 회음부근육과 항문괄약근의 긴장도 감소로 배변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고섬유질 식이(생과일, 생야채, 모든 곡류)는 장에서 부피를 형성함으로써 연동운..
2022.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