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신장이식4

성인간호학 2-188 8)신장이식 거부반응 거부 반응 증상발현 시기 주요 임상 소견 치료 초급성 거부반응 수분-수시간 이내 발생 -기전 : 수여자 혈청 내 미리 존재했던 동종항체가 공여자 이식콩팥의 동종 항원을 인식하여 공격 -수술도중 나타남 -발열, 급격한 무뇨, 보체·혈소판의 격감, 백혈구 침윤, 피부린 혈전, 급성 요세관 괴사, 출혈 -치료법 없음 -이식신 즉시 제거 급성 거부반응 -주로 1주일 이후~3개월 까지(Early acute) -3개월 이후(Late acute) -신장 기능의 갑작스런 악화 -발열, 권태감, 요량 감소 -BUN, Cr 값 상승 -Cr 청소율 저하, 이식신의 증대·경화 ->혈류량 감소, 단백뇨, 혈뇨, 림프구뇨 -스테로이드 투여 -단일항체 면역억제제 -방사선 조사 만성 거부반응 -2~3개월 이후부.. 2023. 3. 23.
성인간호학 2-187 4)신장이식 수혜자 선택 기대여명이 5년 이상인 환자 이식 금기 -면역억제제로 치료할 수 없거나 생존기간 제한되어 이식이 의미 없는 환자 -치료에 대한 순응도 떨어진 경우(전이된 암, 치료되지 않은 감염, 치료 가능성이 없는 신장 외 질환 있는 경우, 치료에 대한 순응도 떨어지는 경우, 치료에 대한 동의나 순응이 떨어지는 경우, 마약중독자, 제한된 또는 치료가능성이 없는 재활능력) 5)신장공여자의 조건 (1)생존 공여자 -건강상태 양호 -정상 혈압 및 활력징후 -연령 : 18~60세 (65세 이상이여도 전신상태 양호하면 가능) -양측 신기능이 완전, 감염 증거 없음, 당뇨, 고혈압, 암 등의 질환이 없을 것 (2)사체 공여자 -뇌사 상태 전에 정상 신장 기능 -악성종양, 간염 바이러스, HIV 없음 6).. 2023. 3. 22.
성인간호학 2-186 1)투석 원리 (1)확산 -반투과성막 통해 용질이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이동 -투석액 이동 :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전해질(K, P) (2)삼투 -반투과막 통해 수분이 저농도에서 고동노로 이동 -수분의 양이 많은 곳에서 적은 곳으로 이동 -투석액 : 포도당을 첨가한 고농도 용액 (3)초여과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인위적인 압력 경사를 만들어 혈액 내 수분이 반투과막을 통해 투석액으로 이동 3)혈관 통로 혈액 투석을 위해 혈류의 흐름이 빨라야 하고 큰 혈관을 확보해야 함 (1)션트 감염, 혈전 등의 합병증으로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2)동정맥루 ·전박의 요골이나 척골 동맥과 요골 정맥 사이의 문합이 가장 흔함 ·혈액 투석 3개월 전에 시술 동정맥루 가진 대상자 간호 -혈관 통로가 있는 사지에는 .. 2023. 3. 21.
성인간호학 2-183 (4)만성 신부전 고혈압 관리 :혈압상승 억제제 투여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 inhibitor) -작용 : 전신혈압강하, 사구체 여과압 저하 -부작용 : 사구체 여과압의 지나친 저하, 고칼륨혈증, 기침 칼슘길항제 -작용 : 전신혈압강하 -부작용 : 박동성 두통, 안면홍조, 하지부종 (5)감염과 상처예방 -조직손상은 감염을 일으키고 혈청 칼륨을 증가시키므로 피할 것 -구강간호 시 부드러운 칫솔 사용 -요흔성 부종 관리, 과로 피하기 (6)변비 -변완화제 투여 및 흑색변(장내출혈 의미) 관찰 (7)안위증장 소양증 -혈청 인 수준 감소하면 소양증 완화 -미지근한 물로 목욕, 비누 사용 줄이고 로션 등으로 피부 촉촉하게 유지 -과도한 온열 방지, 덥지 않은 환경 유지 -손톱 짧게 유지하고 긁지 않도록.. 2023. 3.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