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뇌하수체7 아동간호학 1-182 5)요붕증 진단검사-수분 제한 검사(1)방법-수분 섭취를 금지시키고 소변 농축 능력 검사(2)결과-요붕증 시 소변량의 변화 없음-농축능력의 변화가 없어 희석된 소변 배설->당뇨일 경우 소변량 급격히 저하되고 소변 농축도 높아짐(3)ADH 대체요법 시-뇌하수체성 요붕증일 때는 소변 삼투압 증가-신장성 요붕증은 반응 없음 6)치료 및 간호중재-치료 및 간호의 초기 목표는 질병을 발견하는 것(1)탈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로 적절한 수분 공급(2)정확한 I/O 및 체중 측정(3)소변 비중 확인(4)ADH 보충 요법-1일 소변배설량이 9L 이상-탈수 검사에서 소변 삼투성이 100mOsm/kg 이하일 경우 Desmopressin acetate 비강 주입 -> 이때 비강 내 충혈, 자극감, 초조감.. 2025. 1. 5. 성인간호학 2-215 2)항이뇨 호르몬 부적절 증후군(SIADH) (1)원인 항이뇨 호르몬의 과다분비로 인한 수분 정체->수분 중독증(수분전해질 불균형) 악성 종양(부신생물 증후군, 폐함) 중추신경계 질환 약물 HIV 감염 등 (2)병태생리 -계속적 항이뇨 호르몬 분비->수분 축적, 저나트륨혈증 (3)증상 소변으로 나트륨 배설과 수분의 재흡수 증가->부종, 혈압상승 없는 수분 축적, 세포외액 증가 저나트륨혈증 -두통 -식욕감퇴 -오심 -의식 혼탁 -혼수 -불안감 -심한 경우 뇌부종 (4)치료 및 간호 저나트륨혈증 -수분 섭취 1일 500~600mL로 제한 -물보다는 얼음 권장 -I/O 확인 -체중변화 관찰 약물요법 -이뇨제 투여 : 나트륨과 칼륨 보충 -고장성 Saline(3%) 정맥 투여 -Demeclocycline, fl.. 2023. 4. 19. 성인간호학 2-214 3. 뇌하수체 후엽의 장애 1)요붕증 (1)정의 ADH의 부족에 의한 신장의 수분 재흡수 장애 주증상 -다뇨(저비중, 저삼투성) -다갈 (2)분류 중추성 요붕증(=신경성 요붕증) -중추-시신경 형성 장애 -뇌하수체 미발육 -뇌손상 -종양 등 신성 요붕증 -만성 신부전, 종양, 겸상 적혈구 질환 등 -ADH에 대한 세뇨관의 반응이 없어 수분위 재흡수가 잘 이뤄지지 않음 (3)병태생리 불충분한 ADH 분비 또는 신장의 비효율적 반응 다뇨 : 당 포함되지 않은 희석된 다량의 소변, 하루 5L 이상, 비중 1.005 이하, 삼투압 100mOsm/L 이하->혈장 삼투성 증가(295mOsm/L 이상) 신장의 수분 재흡수 장애, 과다 수분손실->다갈 수분 보충 부적절 시 ·고삼투압 -과민반응 -멍한 상태 -혼수 -고.. 2023. 4. 18. 성인간호학 2-213 (2)말단비대증과 거인증 성장호르몬 과다 주사 거인증 : 골단 융합 전의 어린이 ·증상 -골단이 융합될 때까지 계속적 신체 성장 -과도하게 큰 키, 심비대, 간비대, 혀의 비대 등의 장기비대 -당뇨병 -성기능저하(발기부전, 무월경) -골다공증 -고혈압 -신경병증 동반 가능 말단 비대증 : 골단융합 후의 성인 ·증상 -길이 성장 없이 말단부위의 뼈나 연조직 비후, 코, 입술, 귀, 혀의 비대(연하곤란) -부정교합 -상악전돌증 -손발 비대 -골관절성 통증 -심한 발한 -간-심비대 -고혈압 -낮은 톤의 목소리 -수근관증후근 등 (3)쿠싱병 -ACTH 분비 증가 -혈중 코티솔과 ACTH 모두 상승 (4)고프로락틴혈증 남성 -성욕감소 -발기부전 -정자 수 감소 -여성형 유방 -유즙 분비 여성 -무배란 -월경장애 .. 2023. 4. 17.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