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우리나라 보건의료전달체계
자유방임형 의료전달체계의 유형을 따르면서 사회보험형 전국민건강보험제도와 민간 위주의 의료공급체계가 상호작용하는 복지지향형 추구
-1970년 John R. Sibley가 개념을 소개함
-1977년 국민건강보험제도 도입
-1989년 7월 1일 전국민 보험제도 실시
-1998년 9월 의료전달체계를 1단계, 2단계로만 구분하며 진료권의 개념 폐지
1)단계별 의료전달체계
-단계별 의료전달체계의 목적은 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적 운용, 무분별한 의료의 남용을 방지
(1)1단계 진료
-종합전문요양기관을 제외한 전 지역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을 수 있는 경우
-1차 진료기관이나 2차 진료기관
(2)2단계 진료
1>종합전문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는 경우
2>1단계 진료에서 환자의 질병상태에 의하여 그 환자의 진료를 상급의료기관에서 진료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요양급여의뢰서’에 의해 지료가 행하여지는 경우
3>‘요양급여의뢰서’를 지참하지 않으면 국민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없음
4>요양급여의뢰서 없이 2단계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경우
-종합전문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자가 당해 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종합전문요양기관의 치과, 재활의학과, 가정의학과에서 진료를 받는 경우
-종합전문요양기관에서 응급진료를 받는 경우
-혈우병환자가 혈우병 진료를 받는 경우
(3)의료 급여 대상자
1>1차, 2차, 3차 의료기관 순으로 이용가능
2>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희귀난치성 질환, 정신질환, 본인의 요청 등으로 선택병원 진료 가능
2)우리나라 보건의료 체계의 특징과 문제점
(1)공공보건의료의 취약함과 민간위주의 의료 공급체계
(2)보건의료가 도시에 집중
(3)보건행정체계의 이원적 구조
1>보건복지부
-정책결정기관
-사업관리
-기술지원
-감독권
2>행정안전부
-인사권
-예산집행권
(4)보건의료체계 상호간의 기능적 단절성
-민간-공공부분
-공공부분 사이
-민간기관 사이의 협조 부족
(5)보건의료공급자의 다원성
-현대의학, 한의학, 약학 등의 갈등과 서비스 중복
(6)보건 조직의 다원화
-행정 관할 부서의 다양
-업무의 연계성 부족
'지역사회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1-44 (0) | 2025.04.22 |
---|---|
지역사회간호학 1-43 (0) | 2025.04.21 |
지역사회간호학 1-41 (0) | 2025.04.19 |
지역사회간호학 1-40 (0) | 2025.04.18 |
지역사회간호학 1-38 (1) | 2025.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