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퇴행성 질환3

성인간호학 2-91 4)헌팅턴 무도병 불수의적 근 움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퇴행성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 (1)원인 -30~50대에 호발 -15~20년에 걸쳐 진행 -퇴행성 질환 -신경전달물질(GABA, Acetylcholine)의 불균형 : 도파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상승, 억제되지 않은 움직임 초래 (2)증상 -무도병 : 비정상적, 과다한 불수의적 움직임 -수의적 활동 제한, 균형감저하, 구음장애 -호흡장애, 변실금, 요실금 -지적 감퇴, 정서적 불안정, 정신과적 행동 (3)진단검사 -CT -MRI 등 (4)치료 및 간호중재 약물요법 증상조절 자가간호 증진 -대상자의 위생, 영양, 배설 등의 간호에 관심 안전한 환경 제공 -침대 난간 상승 -패드를 대어주어 손상 방지 -신체보호대는 비정상운동을 증가시키므로 금지 .. 2022. 12. 16.
성인간호학 2-89 2)근위축성 축삭경화증 (1)정의 -루게릭병, 뇌간, 척수, 대뇌피질의 운동 신경원을 침범하는 퇴행성 질환 -감각신경과 자율신경계는 침범하지 않고 정신상태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음 -2~6년 내 사망 (2)원인 -정확한 원인은 모름 -바이러스, 대사장애 감염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음 -50~60대 남성에게 호발 (3)증상 -근육의 점진적인 탄력소실과 무력감 -쇠약감, 경련, 근육강직 -과잉반사, 언어장애, 연하곤란 -점차 호흡곤란이 초래됨->호흡기 감염으로 사망 -인지능력은 유지되므로 환자가 더 고통스러움 (4)치료 ->특별한 치료가 없으며, 질병의 진행을 늦추기 위함 -약물치료 : Riluzole(Rilutek)->질병의 진행 늦춤 -호흡지지 위해 벤틸레이터 부착 -위관영양 (5)간호중재 호흡유.. 2022. 12. 14.
성인간호학 2-87 6.5 퇴행성 질환 및 자가면역장애 1. 퇴행성 질환 1)파킨슨병 (1)정의 기저핵의 신경원을 침범하는 만성 퇴행성 중추신경계 장애 (2)원인 뇌 기저신경절 안의 도파민 부족 (3)병태생리 기저신경절 내 흑질의 퇴행성 변화->흑질 내 도파민 분지 신경원의 파괴->도파민 양 감소->아세틸콜린의 흥분활동에 대한 도파민의 부적절한 조절->수의적 동작의 시작과 조절 어려워짐 (4)증상 진전 -활동을 시작하거나 수면 중 소실, 휴식 시 악화 -수전증 : Pill-rolling(엄지를 손바닥 안쪽으로 돌림) -목적이 있는 수의적 운동 시에는 감소(단추 채우기, 옷입기 등) 모든 움직임의 강직 -웅크리는 자세 운동불능/운동완서 -느린운동 : 자율적인 운동의 점진적인 소실 -운동 개시 곤란 체위의 불안정 -걸음의 폭은.. 2022. 12.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