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청각장애2

아동간호학 1-130 4)뇌성마비 증상 2(5)청각장애무도병성 무정위 운동에서 나타남 (6)언어장애-대부분 동반됨-상징 언어습득의 지연은 지적 발달지연을 의미-구음장애 등 (7)보행장애-가위 보행-발끝으로 걷거나 질질 끄는 걸음 (8)운동장애 5)진단-신경학적 평가(1)1세 이전에 한 손이 강하게 발달하거나 3개월 후에 주먹을 쥠(2)복위나 앙와위로 구부려 몸통, 둔부, 다리에 심한 신전(3)운동수행능력 사정, 수동적 근육 긴장도, 심부건 반사 변화(4)바빈스기 징후 양성, 정위 반사 나타남, 불수의적 움직임, 강직  *뇌성마비의 임상적 분류종류특징강직성-일측성 혹은 양측성으로 나타남-자세, 균형, 통합된 운동조절의 결핍이 동반된 긴장과다-의도적 운동 시 비정상적 자세와 신체 다른 부분의 움직임이 과도하게 증가됨-전형적인 걸.. 2024. 11. 14.
아동간호학 1-127 2. 청각장애1)정의청객과 관련된 장애정도가 경한 것부터 심각한 수준까지 귀머거리와 난청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1)귀머거리-청력 불능 상태-90dB 이상의 소리를 기준(2)난청-듣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보조 장치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상태 2)종류(1)전도성 난청1>골전도는 정상, 공기전도는 손상2>대부분 교정 가능함3>흔한 원인은 외이의 선천적 협착, 귀지로 인한 소리전달 방해4>검사 후 외과적 교정 혹은 외이의 소리전달 장애물질 제거 (2)감각신경성 난청1>내이의 구조적 결함에 의한 난청으로 청각신경이나 달팽이관 손상 시에 해당2>골전도 손상, 공기전도 정상, 교정의 어려움3>다운증후군 등의 유전 및 선천적 질환, 감염 후 합병증, 큰 소리에 노출 시 (3)혼합성 난청감각신경성 난청과 전도성 .. 2024. 11.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