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면역억제제6

아동간호학 1-187 5)전신성 홍반성 낭창 증상(1)근골격계-관절통-종창-아침에 손과 손목, 무릎에 강직 발생(2)피부-뺨과 코 주위 나비 모양 발진-자외선 노출 시 악화-추위에 민감(3)이차감염-홍반-반점(4)심폐기관-심낭염-늑막염(5)위장계-식욕부진-오심-구토-복통(6)신장계-사구체 염증-단백뇨-혈뇨-고혈압(7)신경계-발작-경련-두통-무도병(8)혈액계-용혈성 빈혈-백혈구 감소증-림프구 감소증-혈소판 감소증(9)기타-미열-피로-체중감소-빈혈-반상 출혈-림프절 비대-감염에 취약해짐 6)진단-병력-신체 검진-혈청학적 검사 7)치료(1)스테로이드 제제 투여-염증 완화(2)증상이 심하거나 신질환 재발 시 면역억제제 투여(3)세포 독성 약물, 항말라리아 약물, 항응고제 투여 8)간호중재(1)V/S(2)I/O(3)통증 부위 사정(4.. 2025. 1. 10.
아동간호학 1-185 5)소아 류마토이드 관절염 진단-ESR 증가-CRP 증가-WBC 증가-ANA는 소수 관절형과 다수 관절형에서 나타날 수 있음 6)치료(1)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로 시작-아스피린이 주 치료제였으나 레이증후군 관련성 때문에 다른 NSAIDs 사용->진통, 해열, 항염증 작용(2)점차 면역억제제로 변경(3)스테로이드 투여-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전신형 환자-심막염-심근염에 의한 심기능 부전 시-일반적으로 부적합하므로 초기부터 사용하지는 않음 *스테로이드 부작용고혈압체중 증가감염 은폐달 모양의 얼굴다모증 7)간호중재(1)통증 경감-아침에 온습포-따뜻한 통목욕(2)아스피린 다량 복용 시 독성 증상 사정 *아스피린 독성 증상이명(귀울림)청각 소실위염위궤양기면호흡곤란빈맥 (3)물리 치료-하루 2~3회.. 2025. 1. 8.
아동간호학 1-122 5)신증후군 진단-소변검사-CBC 검사-혈청 전해질 검사 6)치료-대증요법-약물치료-침상 안정-저염식이 7)치료(1)스테로이드 치료1>부종은 감소하나 체중은 증가함2>위장출혈과 궤양 관찰, 제산제 투여3>구토 시 우유나 음식과 함께 투약4>프레드니손은 안전하고 가격이 싸서 가장 우선적으로 선택됨5>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치료 환아는 체중과다 경향으로 체중 관리가 필요함6>스테로이드는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떨어뜨림7>환아의 염증 증상을 은폐 시킬 수 있음8>쿠싱 증후군의 특징적 외모와 체모 변화 초래9>부종성 피부는 쉽게 손상되어 이차감염을 일으키므로 감염 예방이 필요함10>이뇨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드니손의 부작용이 나타났을 경우에 필요 (2)면역억제제1>재발 혹은 반응 없을 때2>부작용-.. 2024. 11. 6.
성인간호학 2-188 8)신장이식 거부반응 거부 반응 증상발현 시기 주요 임상 소견 치료 초급성 거부반응 수분-수시간 이내 발생 -기전 : 수여자 혈청 내 미리 존재했던 동종항체가 공여자 이식콩팥의 동종 항원을 인식하여 공격 -수술도중 나타남 -발열, 급격한 무뇨, 보체·혈소판의 격감, 백혈구 침윤, 피부린 혈전, 급성 요세관 괴사, 출혈 -치료법 없음 -이식신 즉시 제거 급성 거부반응 -주로 1주일 이후~3개월 까지(Early acute) -3개월 이후(Late acute) -신장 기능의 갑작스런 악화 -발열, 권태감, 요량 감소 -BUN, Cr 값 상승 -Cr 청소율 저하, 이식신의 증대·경화 ->혈류량 감소, 단백뇨, 혈뇨, 림프구뇨 -스테로이드 투여 -단일항체 면역억제제 -방사선 조사 만성 거부반응 -2~3개월 이후부.. 2023. 3.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