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련14 아동간호학 요약 1-20 6. 조절 장애1)열성 경련열성 경련간질발병 연령약 6~18개월연령과 관계 없음발작지속시간짧음(보통 15분 이내)수분~수시간발작 특징정상전신성 혹은 국소성뇌파정상간질파(혹은 정상)체온상승과의 관계체온 상승기에 발생체온상승 시 언제나빈도1년에 4~5회매일~매년유전가족빈도높음낮음 *비대성 유문 협착증 & 장충첩증 & 선천성 거대결장비대성 유문 협착증장중첩증선천성 거대결장정의유문의 환조직이 과성장상부 장이 하부 창자 속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원위부 결장과 직장의 부교감신경절 부재->불충분한 연동운동->기계적인 장폐색증상-수유 직후 담즙 섞이지 않은 투사성 구토-RUQ에 올리브모양 촉진-수유 후에도 배고픔 호소하며 보챔-담즙 섞인 구토-RUQ에 소시지모양 촉진-젤리 모양의 혈액·점액 섞인 변-주기적이며 심한 급성.. 2025. 2. 23. 아동간호학 1-192 4. 길랑-바레 증후군1)정의급성 감염병 후 발생하는 특발성 다발성 신경염 2)원인-독감 등의 바이러스 감염-예방접종 후 발병 3)특징(1)4~9세에 호발(2)말초신경에 염증이 생겨 신경세포의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수초라는 절연물질이 벗겨져 발생하는 급성 마비성 질환(3)주증상은 운동신경계 증상이지만, 가벼운 감각 이상을 동반하고 심하게 진행되면 호흡곤란 및 연하곤란의 증상을 보일 수 있음(4)발병 후 2~3주부터 증상이 차차 호전되어 발병순서의 역방향으로 회복됨 4)호발 근육-복부-흉부-안면-연수 등 5)병태생리(1)림프구의 과민반응 및 감염의 독성 작용(2)림프구가 말초신경으로 이동(3)수초 파괴(4)내장의 세포들이 국소 괴사(5)침범된 신경의 지배를 받는 근육의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마비 6)증상(1.. 2025. 1. 15. 아동간호학 1-164 10. 뇌염1)병인-일본뇌염 바이러스-단순포진 바이러스-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2)특징-여름에 호발-급성 열성 전염병 3)감염원모기가 매개(뇌염모기는 사람을 물기 전 중간 숙주인 돼지, 닭, 소 등을 물어 가축의 체내에서 바이러스를 증식시킨 후 사람에게 전파 4)증상(1)초기-고열-불안-두통-권태-구토-불면-언어장애(2)극기-고열 최고도-진전-경련-근 강직-의식장애-뇌막 자극 증상(3)회복기-해열-모든 증상이 7일 내 회복 5)치료-경련 혹은 불안 시 진정제 투여-해열제 및 항생제 투여-뇌압 상승 시 요추천자 시행 6)간호중재(1)대증요법(2)급성 시 격리 안정(3)호흡장애 사정-필요 시 산소요법, 기관 절개술(4)조용한 환경 제공(5)구강 간호(6)피부 간호(7)뇌압 상승으로 인한 구토 증상 시 구강 섭.. 2024. 12. 18. 아동간호학 1-149 4)발작 종류(1)부분 발작-국소적 시작1>단순 부분 발작-의식 변화 없음-심하게 지속되면 사지 허약이나 마비 발생토드 마비-단순 부분발작이 심하고 오래 지속되면 발작 부위에 일시적으로 허약감과 마비가 오는 증상잭슨 마비-발작이 주위의 운동피질로 퍼져 신체의 다른 부위로 진행되는 것2>복잡 부분 발작-발작 시 의식 장애 있음-전조증상(불안, 어지럼증, 갈증)3>다양한 정신장애나 감성장애 동반4>1분 이상의 발작5>자동증으로 자신의 행동 기억하지 못함(2)전신 발작-즉시 의식장애 나타남1>소발작-주로 5~10세 아동에게서 빈발-전조 없이 의식이 잠깐 소실됨-자동증 혹은 경한 간대성 강직 발작요소 포함-멍한 표정-무반응-행동중단-10~20초 지속-처음에 발견 어려움2>전신성 강직-간대성 발작-전형적 경련성 .. 2024. 12. 3.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