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3. 평가 절차
1단계 | 평가 내용과 평가 기준 설정 | 평가되어져야 할 것의 결정과 평가를 위한 측정 기준 설정 |
2단계 | 평가자료 수집 | 평가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나 자료를 수집 |
3단계 | 비교 | 설정된 목표와 현재 이루어진 상태를 비교 |
4단계 | 가치 판단 | 목표 달성 여부 파악 및 원인 분석 |
5단계 | 재계획 | -미래 사업 진행 방향을 결정 -사업을 중단할지, 계속할지 등을 결정하여 피드백 후 후속사업에 도입 |
4. 평가의 유형
1)투입-산출 모형에 따른 평가
(1)구조평가
1>사업에 투입되는 자원(인적자원, 물적자원, 시간 등)의 적절성 평가
Ex, 인력, 예산, 장비
2>사업인력의 양적 충분성과 사업 수행에 필요한 전문성 확보, 시설 및 장비의 적절성, 사업정보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
(2)과정평가
사업에 투입된 인적, 물적 자원이 계획대로 실행되고 있는지, 일정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과정
1>목표 대비 사업의 진행 정도
2>사업 자원의 적절성과 사업의 효율성
3>사업 이용자의 특성
-대상자의 건강요구도
4>사업 전략 및 활동의 적합성과 제공된 서비스의 질
(3)결과평가
설정된 장, 단기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는가를 평가
1>단기적 효과
-대상자의 지식, 태도, 신념, 가치관, 기술, 행동 변화 측정
2>장기적 효과
-이환율, 사망률, 유병률 등 감소 측정, 프로그램 참여율
3>평가 내용
-사업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했는가
-사업에 의해 야기된 의도되지 않은 결과는 없는가
-사업이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에 기여하고 있는가
-조직과 지역사회의 문제해결 역량이 향상 되었는가
-사업의 전략이 얼마나 효과적인가
-다른 가능한 대안은 무엇인가 등
2)평가 범주에 따른 구분
(1)투입자원 평가
(2)사업진행 평가
(3)목표의 달성 정도 평가
(4)사업 효율성 평가
(5)사업 적합성 평가
3)평가시기에 따른 구분
(1)진단 평가
-사업을 수행하기 전에 시행하는 평가
(2)형성 평가
-사업 중 사업의 진행 평가
(3)총괄 평가
-사업 종료 후 목표 달성 정도 평가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