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1-18

by leemy 2025. 3. 27.
728x90
반응형

5)보건시대간호(1900~1960)

(1)가난한 소외계층뿐 아니라 일반 대중의 건강관리에도 폭넓게 접근하기 시작

 

(2)전문화된 보건사업

-특정 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분화된 간호사업 수행

 

(3)학교간호사업 시작

-1902년 시행

 

(4)보건간호사 명칭 사용

-1910년 시행

 

(5)미국의 모든 주와 대부분의 대도시에 보건소 설치

-1920년 설치

 

(6)사회 보장법이 통과 되면서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범위 확대

-1935년 시행

 

 

6)지역사회 간호시대(1960년대 이후)

(1)1965

-노인을 위한 Medicare

-저소득층을 위한 Medicaid 제정

-미국에서 전문 간호사 제도 시작

 

(2)1970

-개인 중심의 보건의료에서 포괄적인 지역사회 중심의 보건의료제도로 전환

 

(3)일차보건의료의 중요성 강조

 

(4)1980년대에 가정간호와 전문 간호사 이용이 증가

 

7)공중 보건사업의 역사적 특징

(1)장기설 시대

-1850~1880

-나쁜 공기가 질병의 원인이 된다고 믿은 시기로 청결과 쓰레기 처리를 중요시한 시기

 

(2)질병관리기

-1880~1920

-전염병 관리에 역점을 둔 시기

 

(3)건강자원 활용기

-1920~1960

-지방 단위 보건소를 설치하는 등 보건사업에 역점을 둔 시기

 

(4)사회적 정비기

-1960~1975

-미국에서 Medicare, Medicaid가 제정되고 건강유지조직 같은 새로운 의료전달체계가 대두된 시기

 

(5)건강증진기

-1975년 이후

-질병예방과 건강중진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들이 조직되며 건강 관련 증진법이 제정된 시기

728x90
반응형

'지역사회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간호학 1-20  (0) 2025.03.29
지역사회간호학 1-19  (0) 2025.03.28
지역사회간호학 1-17  (0) 2025.03.26
지역사회간호학 1-16  (0) 2025.03.25
지역사회간호학 1-15  (1) 2025.03.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