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carbamazepine3

정신간호학 1-53 5. 간질 뇌신경세포의 갑작스러운 병리적 과도 전기방전으로 유발 1)발작 시 간호 (1)환자가 잘 눕도록 도우며 환자 머리 밑에 부드러운 물건 받침 (2)안경 등 깨지기 쉬운 물건 치우고 옷을 느슨하게 풀기 (3)날카롭거나 딱딱한 물건은 치워야 함 (4)환자 입에 어떠한 물건도 강제로 밀어넣지 않음 (5)환자의 동작을 멈추거나 억제하지 않음 (6)질식 예방 -환자의 머리를 옆으로 돌려서 입으로부터 침이 흘러나오도록 함 (7)환자가 완전히 깰 때까지 한 사람이 곁에서 지키도록 함 (8)환자에게 음식물이나 음료수를 주지 않음 2)약물요법 (1)Carbamazepine이나 Valproic acid 선택 (2)Barbiturate, Benzodiazepine 계 약물은 기억력·인지상태에 부작용 유발 6. 성폭력.. 2023. 8. 21.
성인간호학 2-112 (8)발작 합병증 간질성 상태 -발작이 계속됨 -30분 이상 연달아 지속되는 것 낙상에 의한 손상 (9)간호중재 뇌조직 관류 유지 -피부색이 바뀔 경우 발작동안 산소제공 -약물의 치료적 혈중농도 모니터링 -약물의 부작용 모니터링 -발작에서 완전히 깨어날 때까지 기도 확보 손상방지 -안전한 환경을 위해 침상난간에 폭신한 것 대줌 -침대를 낮게 유지하여 낙상 예방 및 방지 -방을 어둡고 조용하게 유지 -발작동안 신체보호대로 묶지 않고 묶여 있는 경우 풀기 -단단한 옷이나 꽉 조이는 옷의 경우 풀어주기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측위 취함 -발작동안 어떠한 물건도 입에 넣지 않기 -발작중에는 환자 곁에 있어주기 대처기술의 강화 -자극을 줄이기 -자극이 되는 스트레스원 피하기 등 환자교육 -Phenobarbitla.. 2023. 1. 6.
성인간호학 2-111 (6)발작 진단검사 뇌파검사, 비디오 모니터 -병변부위 -간질의 강도 -간질 기간 등을 규명 MRI, CT 발작을 일으키는 원인 규명 SPECT 병변부위 규명을 위한 추가검사 신경심리학적 검사 행동이상 평가 (7)발작 치료 약물요법(항경련제) -Carbamazepine(Tegretol) -Phenobarbital -Divalproex(Depakote) 등 ·최소한의 부작용 발생과 경련 조절 ·급성 간질 발작 -Lorazepam(Ativan) -Diazepam(Valium) ·재발방지 -Penytoin ·Penytoin(Dilantin) :대발작 시 사용 *부작용 -소화기 장애 -피부발진 -구강염 -잇몸과잉증식 -골수 억압 -무과립세포증 수술적 중재 -뇌종양 -뇌농양 -혈관이상 시 정신과적 치료 적당한 휴.. 2023. 1.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