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acetylcholine2

성인간호학 2-91 4)헌팅턴 무도병 불수의적 근 움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계 퇴행성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 (1)원인 -30~50대에 호발 -15~20년에 걸쳐 진행 -퇴행성 질환 -신경전달물질(GABA, Acetylcholine)의 불균형 : 도파민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상승, 억제되지 않은 움직임 초래 (2)증상 -무도병 : 비정상적, 과다한 불수의적 움직임 -수의적 활동 제한, 균형감저하, 구음장애 -호흡장애, 변실금, 요실금 -지적 감퇴, 정서적 불안정, 정신과적 행동 (3)진단검사 -CT -MRI 등 (4)치료 및 간호중재 약물요법 증상조절 자가간호 증진 -대상자의 위생, 영양, 배설 등의 간호에 관심 안전한 환경 제공 -침대 난간 상승 -패드를 대어주어 손상 방지 -신체보호대는 비정상운동을 증가시키므로 금지 .. 2022. 12. 16.
성인간호학 2-24 (4)소화성 궤양 병태생리 위산, 펩신의 분비와 점막의 방어기전간의 불균형 산에 대한 점막의 저항력 약화 -방어기전 ·점막을 덮는 두꺼운 점액층 ·위와 십이지장에 있는 표면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중탄산염 -점막 방어선 손상 ·Hericobacter pylori 감염과 NSAIDs의 만성적 복용 ·프로스타글란딘의 기능차단 (주요기능 : 점액 생산하는 내인성 매개체) 위산분비윗 과다 -Gastrin(유문부에 있는 세포에서 분비) -Acetylcholine(미주신경의 콜린성 작용) -Histamine(위점막에 분포된 세포에서 존재) =>위저부에 있는 위벽세포에서 위산 분비 (5)소화성 궤양 증상 통증 -둔한, 에는 듯한, 혹은 쓰린 통증 -주기적 통증 -음식물 섭취와 제산제 섭취로 경감 -병변에 위산이 닿으면.. 2022. 10. 11.
728x90
반응형